서울 시내 12개 대학에서 비정규직 청소ㆍ경비 노동자 1,600여명이 3일 총파업에 돌입해 개강을 앞둔 대학가에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공공운수노조 서경지부에 따르면 고려대, 고려대 안암병원, 경희대, 연세대, 연세재단빌딩, 이화여대, 서강대, 홍익대, 카이스트, 한국예술종합학교, 광운대, 인덕대, 동덕여대, 덕성여대 등 12개 대학 14개 사업장에서 청소ㆍ경비ㆍ주차노동자 등 1,600여명이 동시에 하루 파업에 들어간다.
2011년 집단 교섭이 시작된 이후 사업장별 노조가 동시에 총파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경지부는 "대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요구한 최소한의 생활임금 인상이 거부된 데다 진짜 사용자인 대학은 용역업체들만 앞세우고 침묵을 지키고 있어 파업이 불가피하다"며 "3일 하루 파업을 한 뒤 추가 협상에 진전이 없으면 전면 파업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파업 대상인 14개 사업장의 청소ㆍ경비 노동자와 20개 용억업체는 지난해 11월부터 집단교섭을 벌여왔다. 노동자 측은 시중 노임단가의 87.7%인 시급 7,000원으로 임금을 인상해달라 요구했고 사측은 임금 동결안을 고수해 8차례에 걸친 교섭이 결렬됐다. 이후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으나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졌다.
이번 파업은 표면상으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그들을 고용한 용역업체 간의 갈등으로 보이지만 용역업체에 하청을 주는 진짜 '원청'인 학교의 무관심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고 있다.
한 용역업체 관계자는 "원청인 학교와 재계약을 못하면 업체 역시 일감을 잃는다"며 "계약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은 입장에서 노조의 요구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윤수 서경지부 조직차장은 "원청이 사용료를 적게 지급하는데 용역업체들이 임금을 올려주기 어려울 것"이라며 "실질적인 사용자인 학교가 책임감을 갖고 노동자들의 근로조건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학에서는 협상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이번 총파업은 용역업체와 노조 간 협상 결렬에 따른 것으로 대학에서는 간섭할 일이 아니다"며 "총파업은 하루만 하는 것이라 학생들이 큰 불편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파업이 길어질 경우에는 용역 회사에 대책 마련을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