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4개 지방의료원이 모두 적자 상태를 기록했다.
3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공공의료기관 정상화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제출한 ‘공공보건의료 및 지방의료원 관련 현안보고’ 자료를 보면, 2012년 한해 전국 34개 지방의료원 전체의 당기순손실(적자)은 총 863억원에 달했다. 한 곳당 평균 25억원 꼴이다.
기관별 적자규모를 보면, 건물 신축 영향으로 서울의료원이 172억1,7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진주의료원이 69억4,70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부산광역시의료원과 인천광역시의료원도 각각 34억3,700만원과 33억1,200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12년 12월 현재 부채는 시설·장비 투자, 퇴직금 중간정산 등으로 총 5,338억원에 이르렀다. 한 곳당 평균 157억원의 부채를 안은 셈.
부채규모를 보면 군산의료원이 425억8,9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광역시의료원이 392억8,200만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특히 이 가운데 11개 지방의료원은 총 156억원의 임금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이처럼 지방의료원의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것은 시설 노후, 인력 부족 등에 따른 경쟁력 약화로 수익은 낮은데 관리비용은 많이 들기 때문이다.
이는 실제 수익을 가늠할 수 있는 의료수지비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수익에서 의료비용을 나눠 산출하는 의료수지비율은 전체 지방의료원이 평균 80.1% 수준에 그쳐 평균 105.8%에 이르는 민간병원에 견줘 25%포인트 이상 뒤졌다.
복지부는 지방의료원을 육성하기 위해 지역여건에 맞는 공익적 의료기능을 강화하면서, 특히 국립대병원과 지방의료원간 연계협력체제를 구축해 의사파견, 교육훈련, 경영자문, 위탁경영 등의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각 지자체 책임 아래 지방의료원장과 경영성과계약을 맺도록 해 지방의료원별로 성과보상체계, 진료과목 조정, 총액인건비제, 임금피크제 등 경영개선대책을 마련해 시행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