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공제회 '민주적 투자결정' 눈에띄네

직급 상관없이 심의 참여
부실투자 위험 크게 낮춰

직급에 상관없이 담당 실무진 전원이 투자 심의에 참여해 1인 1표를 행사하는 교직원공제회의 '민주적' 대체투자 의사결정 방식이 연기금 및 공제회의 주목을 받고 있다. 공식적인 투자 결정 기구인 투자심의위원회 전에 실무진 전체가 직접 투자 안건을 면밀히 따져 부실 투자의 위험을 크게 줄였다는 평가다.

2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교직원공제회는 투자심의위원회에 신규투자 안건을 상정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투자전략 실무협의회'를 운영하고 있다.

투자전략 실무협의회는 실무진을 중심으로 구성된 일종의 사전 투자심의위원회이다. 민간 자산운용사 등이 제출한 신규 사업 제안서를 검토한 후 이를 다수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투심위에 상정하기 전 관련 부서의 전 직원이 나서 투자 안건의 수익 구조와 안정성 등을 한 번 더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교직원공제회의 대체투자 의사결정은 사업 제안 검토→실무협의회→투자심의위원회→임원 회의 등 총 4단계를 거치게 된다. 통상 다른 연기금·공제회의 경우 실무협의회가 빠진 채 3단계로 투자 결정이 이뤄진다.

눈에 띄는 점은 투자전략 실무협의회의 민주적 의사결정 과정이다. 우선 일반 사원 등 직급에 상관없이 대체투자 담당 실무자 전원이 실무협의회에 참여한다. 20여명에 이르는 실무자들은 신규 투자 안건의 수익성·안정성·법률적 부분을 꼼꼼히 검토한 후 각 부분에 대한 배점(5점 만점)을 매기는 방식으로 무기명 투표를 진행한다. 투표에 앞서 최초 사업 제안을 받은 담당자는 실무협의회에 참석한 동료들을 상대로 직접 투자안건에 대한 프레젠테이션(PT)을 진행한다. 투표 결과 합산 평균 점수가 3점 이상일 경우만 신규 투자 안건은 투심위에 상정될 수 있다.

교직원공제회 관계자는 "부서 전 직원을 상대로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를 설득해야 하는 만큼 해당 투자 건의 리스크나 수익 구조를 더욱 상세히 검토하게 된다"며 "투자 결정에 사사로운 관계가 개입할 여지도 차단해 부실 투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