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모두 줄어 '불황형' 우려 커져

3개월 연속 무역 흑자 기록했지만…


지난 4월 무역수지가 22억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3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갔다. 일단 무늬는 화려하다. 하지만 수출과 수입이 모두 줄어 '불황형 흑자'에 대한 우려가 없지 않다.

특히 대(對)중국 수출은 올 들어 4월까지 증가율이 0.9%에 그쳐 지난해 연간 수출 증가율인 14.8%에 비해 너무 심하게 떨어졌다.

1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4월 수출은 462억6,4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7% 감소했다. 수입은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한 441억11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21억5,3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 올 2월을 시작으로 3개월 연속 흑자를 보였다.

무역수지는 1월 20억3,3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후 ▦2월 21억9,800만달러 ▦3월 23억3,000만달러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지경부는 지난해 4월에 월간 수출 실적이 사상 두 번째로 큰 485억4,000만달러를 기록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며 "선거일 등으로 조업 일수가 전년 동월 대비 1.5일 감소한 것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무역흑자 기조를 유지한 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로는 자동차와 일반기계 등 주력 품목의 수출 증가율이 둔화됐다는 점에서 우려되는 부분이 없지 않다. 자동차 수출은 지난해 4월 18.8%에서 올 4월 13.6%로 감소했고 일반기계(28.0%→8.5%)와 철강(20.9%→4.0%) 등 주력 품목들의 수출 증가율이 쪼그라들었다.

수입도 석유제품(38.3%)∙가스(43.6%) 등 주요 에너지의 수입은 크게 는 반면에 철강제품(-49.1%) 등 원자재와 자본제 수입 증가율은 크게 떨어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