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 포커스] '하나은행장 김병호'가 의미하는 것

60년대생 행장 발탁해 위기 돌파
김병호 "원뱅크 토대 마련할 것"


하나금융그룹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1961년생인 김병호 은행장 직무대행을 신임 행장으로 선출했다. 임추위는 통합 작업 가처분 승인으로 혼란스러워진 그룹 분위기를 다잡기 위해 안정을 선택했다. 예상 밖의 인물을 택했다면 또 다른 형태의 잡음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 행장의 선임이 지닌 의미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우선 봐야 할 것이 차기 구도에 대략적인 윤곽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김 행장은 일찌감치 그룹의 차세대 리더로 낙점돼 체계적인 경영수업을 받아온 인물이다. 김종준 전 행장 선임 당시에도 유력한 행장 후보로 거론됐을 정도다.

이력은 화려하다. 뉴욕지점장, 지주 최고재무전문가(CFO), 하나은행 경영관리총괄, 마케팅 부행장 등 은행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하나금융의 굵직굵직한 이벤트에도 모두 관여해왔다. 지주사설립, LG카드 인수작업, 론스타와의 외환은행 인수협상 등이 모두 김 행장의 손을 거쳤다.

항간에는 김승유 전 회장의 라인이라는 평가가 나왔지만 김정태 현 회장과의 관계도 우호적이다.

김 행장은 굳이 따지자면 '전략통'으로 분류된다.

동시에 최연소 타이틀을 늘 달고 다녔다. 뉴욕지점의 경우 그룹 내 최대 라이벌인 이현주 외환은행 부행장보다 먼저 다녀왔다.

물론 내부적으로는 50대 중반 행장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김종열 전 행장이 만 53세에 행장을 지냈고 김승유 전 회장도 만 54세에 행장에 올랐다.

하지만 당시에는 '투자금융' 풍토가 남아 상대적으로 젊은 조직이었던 반면 지금은 엄연한 4대 금융그룹에 올랐다는 점에서 발탁이라는 평가가 타당하다.

실제로 김 행장은 다른 시중은행장들(이광구 우리은행장·박진회 한국씨티은행장 1957년생, 권선주 기업은행장, 김한조 외환은행장 1956년생)뿐만 아니라 하나은행의 여러 부행장들보다도 어리다.

초대 통합은행장 이슈는 김 행장의 선임을 읽는 또 다른 키워드다. 지금까지는 김한조 외환은행장이 초대 통합은행장으로 유력했다. 그러나 외환은행 노조의 가처분 신청으로 통합작업이 멈추면서 상황은 크게 달라졌다. 이우공 부사장 등 실무진이 물러난 상황에서 외환은행 노조와의 관계 설정의 최전선에 있었던 김 행장의 책임론을 피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통합을 주도해온 실무자들의 날개가 꺾인 상황에서 김 행장이 어떤 역할을 설정해나갈 지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