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절을 맞은 1일 미국의 많은 근로자들에게 우울한 휴일을 보냈다. 2001년 경기 침체 이후 250만~30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해 노동절의 최대 이슈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공업밀지 지대인 오하이오주를 찾아 노조 모자를 쓰고 제조업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전국 노동단체인 AFL-CIO의 존 스위니 의장도 “근로자들이 일자리 위기에 처해 있다”며 부시 행정부를 비난했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AFL-CIO의 올해 최대목표가 노조 조직 확대라는 점이다. 미국의 노조 조직률은 1853년 32.5%를 피크로 가라앉기 시작해 71년 29.1%, 지난해엔 13.2%로 하락했다. 민간부문의 조직률은 71년 35.7%에서 71년 28.2%, 지난해 8.5%로 급감했다. 공공부문 노조원으로 이 노동단체는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스위니 의장은 노동절 메시지에서 “노조가 약해지면 생활 수준이 떨어지고, 빈부 격차가 커진다”며 올해는 비정규 노조원의 확보에 주력할 방침을 밝혔다. 그는 지붕 고치는 사람, 농업 노동자, 자동차 수리공, 세탁소 근로자 등을 열거하며, 이들을 영입해 조직률을 높일 것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이들은 단체 협상권이 없는 근로자들이고, AFL-CIO는 영세사업장에 손을 내밀어 조직을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AFL-CIO가 생존의 몸부림을 치고 있는 것은 미국의 노동운동이 70년대 말을 고비로 급감하면서, 노조가 근로자들로부터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 노동연구소(LRA)의 통계에 따르면 1,000명 이상 참가한 파업 건수가 70년에 381건이었으나, 81년 145건, 100만명의 실업자가 쏟아진 지난해는 19건으로 줄었다. 파업 가담 인원도 70년 247만명에서 81년 73만명, 지난해 9만9,000명으로 급감했다.
애리조나주의 경우 노조조직률이 4%에 불과하다. 노조가 없고, 저임금의 근로자를 쓸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이 애리조나를 찾게 됐고, 이 주의 실업률은 8월에 4.8%로 미국 전체 실업률 6.2%보다 훨씬 낮다.
미국 경제는 이제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 원동력은 노조가 아니라, 바로 높은 노동생산성 덕분이다. 춘투도 모자라, 하투, 추투, 동투라는 말이 생겨나 4계절 노동운동으로 점철된 한국과 상이한 모습이다.
<뉴욕=김인영특파원 Iinkim@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