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북한 화력발전 개보수해주고 대가로 갈탄 들여온다

서울경제신문 '대북전력 보고서' 단독입수
장기적 '북한인프라개발기금' 설립
10만㎾급 이동식 복합화력도 공급


정부가 남북관계 급진전으로 경제협력이 활성화되면 북한의 주요 경제특구인 청진과 선봉에 위치한 노후 화력발전소를 개보수해 전력 공급원을 확충하고 그 대가로 갈탄을 국내로 반입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또 북한 노후 발전설비 개선으로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감안해 녹색기구기금(GCF)을 투자재원으로 활용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가칭 '북한인프라개발기금'을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3일 서울경제신문이 단독 입수한 '대북 전력공급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남북경협이 활성화하면 전력의 안정적 공급이 긴요하다고 판단하고 북한의 낙후된 전력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이 같은 시나리오를 마련했다.

이번 보고서는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 대박' 발언 이후 각 부처가 마련하고 있는 통일준비 시나리오의 일부로 정부가 지난해 10월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에너지경제구원·산업은행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FT)에 의뢰해 지난 7월 완료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함북지역 청진 화력발전소와 나진·선봉 화력발전소가 최우선 개보수 대상이다. 북한 전역에 전기를 공급하려면 엄청난 시간과 비용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협이 활성화하면 산업시설이 집중된 지역부터 순차적으로 전력 인프라를 제공한다는 구상이다. 청진과 나선지역은 북한 전체 무역의 60%를 차지하는 경제·산업의 1번지로 꼽히지만 이곳의 화력발전소는 5만~10만㎾급으로 소규모인데다 수령 40년 안팎의 노후설비로 가동률이 20%대에 그친다. 아울러 10만㎾급 이동식 복합화력 설비를 새로 구축하거나 남한의 기존 설비를 북한에 이전하는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투자금 회수는 화력발전소 개보수의 경우 북한 내 갈탄 반입, 수력설비 업그레이드는 임진강과 북한강 수계의 수자원 이용권 확보를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북한에는 화력발전소 연료로 이용 가능한 갈탄이 약 160억톤 매장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훈 ·조민규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