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유조선 원유 수송능력 한계 도달

수송비용도 상승세‥원유수급 개선 힘들듯

전세계 유조선의 원유 수송용량이 한계에 달했고, 유조선에 대한 테러위협이 고조되고 있어 석유생산국기구(OPEC)의 증산 결정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원유 수급상황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현재 원유 수송을 담당하고 있는 유조선의 수는 총 3,600대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200만배럴 이상의 수송능력을 갖춘 대형원유운반선(VLCC)은 435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VCCL은 대부분 앞으로 2~3년동안의 물량이 예약돼 있어 현재 건조중인 선박들이 투입될 2007년까지는 원유수송량이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는 병목현상이 예상되고 있다. 뉴욕의 에너지수송 중개업체 포텐앤파트너의 제프리 구에츠는 “현재 전세계 유조선은 거의 100% 운항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달 OPEC이 200만배럴을 증산할 경우 유조선 부족 현상은 더 심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조선 구하기가 힘들어지자 수송비용도 올라가고 있다. 중동에서 미국까지의 원유 운송료는 올 초 배럴당 2달러에서 5월말 현재 3달러로 50% 뛰었다. 유조선에 대한 테러위협도 문제다. 유조선 테러는 국제적인 관심을 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충격도 엄청나 알 카에다 등 테러조직의 목표가 되고 있다. 이에 대비해 미국은 7월1일부터 일정규모 이상의 유조선에 대한 보안규정을 강화하고 이 규정에 미달하는 선박은 미국 항구에 들어올 수 없도록 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유조선사에 부담을 주게 돼 원유 공급에 또 다른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