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 블랙홀' 위안화예금… 당국 "예의 주시"

저금리 장기화로 위안화 예금이 급속도로 몸집을 불리자 금융당국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위안화 예금을 담보로 한 증권사의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판매액이 급격히 늘어나자 불완전 판매가 없도록 증권업계에 당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6일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국내 자금이 중국 위안화 예금으로 쏠리고 있다"며 "자금흐름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올 들어 증권사들이 위안화 예금을 담보로 발행하는 ABCP로 자금이 몰리고 있어 최근 증권업계에 불완전 판매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해 말 국내 입점한 중국계 은행을 대상으로 위안화 예금 판매 자제령을 내린 바 있다. 위안화 예금이 지난해부터 급속도로 국내 시중자금을 빨아들였기 때문이다. 위안화 예금은 중국 공상·농업은행 등 신용등급이 높은 중국계 은행의 정기 예금 상품으로 금리가 연 3%대로 높다.

하지만 중국계 은행이 국내에서 유치한 위안화 예금을 중국으로 가져가 대출로 운용할 경우 여신이 부실화할 경우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 또 증권사들이 발행하는 위안화 예금 담보 ABCP 역시 은행 신용에 문제가 생길 경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국내 거주자의 위안화 외화예금 잔액은 161억9,000만달러로 1년 전 2억9,000만달러보다 56배 급증했다. 전체 거주자 외화예금에서 위안화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2년 말 0.4%, 지난해 말 13.7%, 올해 7월 말 25.9%로 큰 폭으로 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까지 불완전판매나 환헤지 관련 위험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환율 변동성이 커지고 홍콩사태 등 중국 경제에 변수가 많은 만큼 위안화 예금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