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비만을 조절하는 새로운 핵심 수용체와 메커니즘(작용 방식)을 밝혀냈다.
서울대병원은 17일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팀이 체내 캡(CAP1) 단백질이 비만을 조절하는 핵심 수용체라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캡 단백질이 비만·동맥경화증·당뇨병 같은 심장대사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리지스틴 호르몬의 수용체임을 입증했다.
리지스틴 수용체는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었는데 캡 단백질이 리지스틴의 수용체로서 만성염증과 심장대사질환을 유도하는 핵심 물질이라는 사실이 이번 연구로 처음 규명된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비만을 억제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동맥경화증·당뇨병 등 성인병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전기를 마련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잡지 셀(Cell)지의 자매지 '셀 메타볼리즘' 3월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