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빛으로 수리되는 전기회로 최초 개발

KAIST는 생명화학공학과 박정기·김희탁 교수팀이 성균관대 이승우 교수와 공동으로 끊어진 전기회로에 레이저를 쪼여주면 단락된 부분이 원래 상태로 다시 붙어 전기가 통하게 되는 ‘빛을 이용한 자기회복 전기회로’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회로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발표용 레이저포인터를 2분 정도 조사하는 것만으로도 끊어진 부위를 처음 상태로 완벽하게 수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휘고 접고 비틀어도 잘 작동되는 연성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플렉시블 전자기기나 웨어러블 컴퓨터는 물론 움직임이 많은 인간형 로봇의 전선으로 적용해 단락 시 곧바로 수리할 수도 있다.

박정기 KAIST 교수는 “플렉시블 전자기기의 전기회로 단락문제를 해결해 전자기기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영화 속 아이언맨도 탐낼만한 차세대 신기술”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