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분간 원칙 위주… 北 안정되면 유연하게"

혼란기엔 보수적으로, 안정기엔 전향적으로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후 급변하는 정세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안보 정책 마련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박 비대위원장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외교∙안보팀은 당분간 보수적 관점에서의 대북 기조를 유지하다 북한 체제가 안정화된 후 유연한 입장에서의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미래연구원의 관계자는 25일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북한 상황이 아직 정리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독자적 목소리를 내는 것은 시기상조다”라며 “내년 4월 태양절(김일성 주석이 태어난 날) 즈음까진 정부 기조에 맞춰 나가면서 이후 뭔가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북한 조문 관련 논쟁이 벌어졌을 때 박 비대위원장이 “정부가 조문단을 파견하지 않기로 했고 이런 문제는 정부의 기본 방침과 다르게 가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것도 이 같은 차원이다. 이를 두고 당내 일각에선 대북 관계를 전향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지난 2002년 북한을 방문해 김 국방위원장과 단독회담을 하는 등 전향적 태도를 보인 바가 있는 만큼 ‘김정은 체제’가 안정화되면 유연하고 탄력적인 대북 정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측된다. 국가미래연구원 관계자는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대북 기조는 원칙과 탄력, 유연을 병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가미래연구원 외교∙안보팀은 2주에 한 번 가량 모여 ‘김정은 체제’에 대해 연구를 시작했으며 박 비대위원장도 2주나 4주에 한 번씩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 비대위원장에겐 당의 전면에 등장하는 시점에 발생한 김 국방위원장의 사망 사태를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대권주자로서의 능력을 검증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