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카드시대 다가왔지만… 영역확장 '산넘어 산

하나카드·SKT 합작협상 타결 임박
가맹점 승인처 확보에만 3,000억이상 들어
소액·스마트카드 결제땐 역마진 딜레마도


하나카드와 SK텔레콤의 합작 협상 타결이 임박하면서 휴대폰과 신용카드가 결합된 모바일카드 시대가 한층 앞당겨지고 있다. 하지만 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 이를 풀기 위한 카드사와 통신사 간 솔로몬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카드와 SK텔레콤이 손잡고 새로운 모바일카드와 서비스를 개발하더라도 당장 이를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턱없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또 카드사로서는 회원이 모바일카드를 이용할 때마다 통신사에 수수료를 줘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매출이 늘지 않을 경우 오히려 역마진이 날 수 있다는 딜레마를 풀어야 한다. . ◇가맹점 승인처 확보에만 최대 3,000억원 들듯=특히 인프라 문제는 그야말로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다. 국내 약 350만개로 추정되는 카드가맹점 대부분에서 모바일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면 가맹점에 무선주파수인식 단말기(일명 RF식 동글ㆍdongle)를 설치해야 하는데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동글 제작ㆍ설치업체인 하이렉인포텍에 따르면 RF단말기의 대당 가격은 일반가맹점용의 경우 20만~30만원선이며 대형가맹점용(일명 POS식 단말기)의 경우 100만원이 넘는다. 특히 국내 카드결제액의 60~70%를 차지하는 주유소ㆍ백화점ㆍ편의점ㆍ대형할인점 가맹점은 전국에 30만여곳으로 추정되는데 이들 가맹점은 스마트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POS를 대당 100만여원씩 주고 설치해야 하므로 그 비용만 해도 3,0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한 카드사의 관계자는 "기존의 카드단말기를 보급해온 국내 VAN사들은 규모가 영세하기 때문에 카드사와 통신사가 함께 부담을 하지 않으면 RF단말기를 보급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역마진 문제도 논란=그동안 카드사는 가맹점으로부터 결제처리를 중개 받는 대가로 VAN사들에 결제 1건당 80~110원 안팎의 수수료(일명 van fee)를 지불해왔다. 이 수수료만 해도 부담이 커 카드사들은 4만원 이하의 결제의 경우 수수료 등을 떼이고 나면 역마진이 나는 상황이다. 그런데 스마트카드로 결제하기 되면 카드사는 기존의 수수료와 이동통신사에 별도로 수수료를 줘야 한다. 이 수수료는 0.45% 안팎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되면 카드사로서는 약 4만~5만원선 이하의 결제에서는 역마진이 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카드 보급으로 실질적인 마진을 낼 수 있는 고액 결제 고객이 늘지 않으면 카드사로서는 통신사와의 제휴를 꺼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