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억원이상 거액예금 6兆 증가

50억원이상 초거액계좌도 늘어

경기부진 속에서도 계좌당 5억원이 넘는 거액 예금이 지난해 말보다 6조원 이상 늘었다. 또 거액예금 가운데 50억원을 초과하는 초거액계좌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4년 상반기 중 은행수신 동향’에 따르면 계좌당 5억원을 초과하는 거액 저축성 예금은 금액 기준으로 179조9,990억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6조1,210억원(3.5%) 늘었다. 그러나 계좌 수는 6만6,000계좌로 2.2% 감소했는데 5억원 이상 거액계좌 수가 감소한 것은 한은이 산업은행을 포함해 거액예금계좌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하반기 이후 처음이다. 거액계좌 수가 감소한 것은 기업자유예금이 투신사의 머니마켓펀드(MMF) 등으로 대거 빠져나간 데 따른 것이 계좌당 예금이 증가한 것은 자금사정이 양호한 일부 수출 대기업들이 여유자금을 은행 정기예금에 예치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5억원을 초과하는 저축성 예금 가운데 50억원을 초과하는 예금은 금액 기준으로 55.1%를 차지, 지난해 말보다 1.6%포인트 높아졌으며 계좌 수 기준으로도 8.2%에 달해 지난해 말보다 0.4%포인트 올라갔다.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수신 잔액은 774조4,680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2조9,480억원(1.7%)이 늘었으나 지난해 하반기의 증가액 18조9,250억원(2.5% 증가)에 비해서는 증가폭이 둔화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 중 시장금리 하락으로 은행금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투신사의 채권형 상품에 돈이 몰린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은행수신 계좌 수는 1억7,161만계좌로 상반기 중 135만계좌(0.8%)가 감소했는데 이는 휴면예금 찾아주기 운동과 은행권의 장기미사용 계좌 정리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의 총수신에서 차지하는 수신종류별 비중은 정기예금 35.8%, 저축예금 12.2%로 예금이 69.6%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금융채 13.5%, 시장형 상품 10.2%, 금전신탁 6.7% 순이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