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자원외교에 총력을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고공비행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 2003년 일본을 제치고 석유소비량 세계 2위로 부상한 중국은 경공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중화학공업으로 바뀌면서 석유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브릭스(BRICs)ㆍ친디아(Chindia) 등과 같은 신조어의 중심에 서 있는 인도도 중국과 함께 석유 거대 소비국으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에너지자원 확보 노력은 에너지쟁탈전으로 불릴 만큼 치열해졌다. 이웃한 중국과 일본의 정상들 역시 자원 확보를 위해 세계를 누비고 있다. 세계의 공장, 자원 블랙홀로 불리는 중국은 후진타오 주석이 중남미ㆍ아프리카ㆍ중동 등 산유국을 집중 방문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남쪽 제2의 산유국인 앙골라에 제공한 20억달러 차관은 원유로 돌려받기로 했을 정도이다. 고이즈미 일본 총리는 8월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을 연이어 방문했다. 물론 석유ㆍ우라늄 등과 같은 에너지와 광물자원 확보를 위해서다. 우리 정부 역시 노무현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자원외교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닐 정도로 에너지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이집트ㆍ나이지리아ㆍ알제리ㆍ몽골ㆍ아제르바이잔ㆍUAE 등 자원 부국 6개국을 두 차례에 걸쳐 순방했다. 아울러 다음주부터 한명숙 국무총리가 리비아ㆍ카자흐스탄ㆍ우즈베키스탄 등 중동과 중앙아시아 자원 부국 3개국을 순방한다. 리비아는 세계 9위 수준인 390억배럴의 석유 매장량을 보유한 중동ㆍ북아프리카 지역의 대표적인 산유국이다. 천연가스 또한 1조5,000억㎥로 세계 매장량의 1.5%를 차지한다. 우리에게는 20여년 전 동아건설이 수주한 20세기 세계 최대 단일 건설프로젝트라는 ‘대수로 공사’로 기억되는 국가이기도 하다. 2003년 9월 국제연합(UN)의 경제 제재조치가 해제되고 5월 미국과 국교가 완전 정상화되면서 오일광구 개발을 중심으로 미국ㆍ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물론이거니와 중국ㆍ러시아ㆍ인도 등 개도국들의 진출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카자흐스탄은 다양한 에너지ㆍ광물자원을 보유한 중앙아시아 최대 자원 부국으로 세계 9위 면적의 광활한 국토에는 1,00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가 매장돼 있다. 이 매장량은 세계 7위를 자랑한다. 확인 매장량 2조5,000억㎥의 천연가스는 세계 15위, 우라늄은 생산량 기준 세계 3위이다. 이밖에 금ㆍ은ㆍ구리ㆍ아연ㆍ망간 등도 세계 10위권 내 매장량을 갖고 있으며, 알루미늄ㆍ티타늄ㆍ크롬ㆍ니켈 등도 국제경쟁력을 갖춘 매장량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앙아시아로 유입되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80%가 카자흐스탄에 집중될 정도로 세계적인 오일메이저나 중국ㆍ러시아 국가의 자원개발회사들의 발길이 쇄도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투자와 함께 고유가에 따른 급속한 오일머니 유입으로 카자흐스탄 경제는 최근 5년간 10% 내외의 높은 경제성장을 이어왔다. 우즈베키스탄 역시 천연가스ㆍ석유ㆍ금ㆍ철 등 풍부한 에너지자원과 광물자원을 보유한 자원 부국이다. 3조㎥에 이르는 천연가스 매장량은 세계 10위권 규모이며, 원유 매장량은 30억배럴에 이른다. 면화에 이어 우즈베키스탄의 2대 수출 품목인 금은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4위를 차지한다. 다만 이웃한 카자흐스탄과 달리 폐쇄적인 경제정책 때문에 오일메이저를 비롯한 서방세계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덜 활발하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매우 적극적으로 자원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이번 총리 순방은 중동 일변도의 원유도입선을 다변화하고 해외 유전을 직접 개발하고 확보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에너지자원 수입국으로 지난해에만 원유, 천연가스, 기타 광물자원 수입에 667억달러를 쏟아부었다. 이는 총수입의 25%가 넘는 규모이다. 이 중 80% 이상의 원유를 중동에서 들여온다. 반면 에너지쟁탈전 경쟁국인 중국은 중동에서 50%, 아프리카에서 30%를 들여오고 있다. 중동 지역 정세 불안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구조를 갖고 있는 우리로서는 중동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지역 자원 부국과의 협력이 더욱 절실한 셈이다. 세계 각국의 자원 확보 노력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에너지자원 쟁탈전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우리 정부와 자원개발기업ㆍ유관단체 모두 합심해야 할 때이다. 이것만이 에너지자원 무기화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