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구 현대차 회장 부자 글로비스 지분 매각] 모비스 지분매입 포석… 정의선 경영 승계작업 속도내나

계열사 잇단 합병 이어 지배구조 본격 개편
일각 "공정거래법 개정 취지 부응" 해석도


정몽구 회장 부자의 현대글로비스 지분매각 추진에 대해 재계는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배구조 개편작업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계열사 간 합병을 잇따라 진행하는 등 경영권 승계 시기를 앞당기기 위한 물밑 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

특히 현대차그룹의 이 같은 움직임은 앞서 지배구조 개편작업을 진행한 삼성그룹과 맞물려 재계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대차그룹 내에서는 여전히 "지배구조 개편과 무관한 작업"이라고 선을 그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공정거래법 규제 취지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도 흘러나온다.

◇지난해 계열사 잇단 합병, 현대글로비스 사업 확대=현대차그룹은 지난 한 해 동안 잇따라 계열사 간 합병 작업을 진행했다. 지난 1월 현대제철의 현대하이스코 냉연부문 합병에 이어 4월에는 현대엠코와 현대엔지니어링을 통합했다.

현대제철 합병 직후 정 회장이 현대제철 사내이사직에서 사임한 것을 두고도 재계 일각에서는 "정의선 부회장에게 힘을 실어주려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정 부회장은 현대제철 사내이사직을 맡고 있다.

이와 함께 11월에는 현대위아에 현대위스코와 현대메티아가 흡수 합병되기도 했다. 이처럼 숨 가쁘게 진행된 계열사 합병 작업의 중심에는 정 부회장이 있다는 게 재계의 분석이다.

정 부회장은 현대위스코의 지분 57.9%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 합병으로 현대위아의 지분 1.95%도 함께 보유하게 됐다.

현대차그룹이 정 부회장 체제로 승계 구도를 마무리 지으려면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구조를 해소해야 한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설득력 있게 거론되는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시나리오는 정 부회장이 기아차가 보유하고 있는 현대모비스 지분(16.9%, 4조7,000억원선)을 확보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순환출자구조 해소와 정 부회장의 후계구도 확립을 위해서는 상당한 수준의 비용이 필요하다.

최근 이어진 현대차그룹의 계열사 합병과 정 회장 부자의 현대글로비스 지분 매각 추진이 지배구조를 단순화하면서 후계구도 승계를 위한 실탄 마련 작업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지난해 8월 정 부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이노션 지분 30%를 3,000억원에 매각한 것이나 현대글로비스가 ‘몸집 불리기’ 차원에서 지난해 11월 유럽의 육상 운송업체인 아담폴을 인수한 것 모두 이런 맥락에서 이뤄진 작업이라는 게 투자은행(IB) 업계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과 무관"=반면 현대차그룹 내부에서는 재계의 이 같은 분석에 극도로 말을 아끼는 분위기다. "삼성그룹과 달리 지배구조 개편과 관련해 아무런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며 최근의 어떤 작업도 경영 승계와는 무관하다"는 것이 그룹 측의 공식 입장이다.

이 때문에 업계 일각에서는 내부거래 규제를 강화한 공정거래법의 개정 취지에 부응하기 위한 조치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공정위가 지난 2013년 공정거래법과 지난해 초 공정거래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대규모 기업집단에 속하는 상장회사 중 특수관계인(지배주주 및 그 친족)이 보유한 지분이 30%(비상장사 20%) 이상인 계열회사와의 거래 등을 통해 특수관계인에게 부당한 이익을 제공할 경우 이익제공기업과 수혜기업은 물론 특수관계인까지 처벌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정 회장 부자의 현대글로비스 주식매각은 공정거래법상 계열사 지분 30%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순으로 볼 수 있는 여지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