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한 기업의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주들이 주총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배당에 따른 기업들의 자금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현금 외에 채권 등 현물로도 배당을 할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유가증권시장 규정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경제DB |
|
-무액면주식 등장으로 액면가 이하에서도 유상증자 등 가능
한 코스닥시장 상장사 대표 A씨. 그는 매년 연말이 되면 자금담당 임원과 면담을 실시한다. 그해 실적에 따라 실시되는 배당이 걱정되기 때문이다. 특히 잉여자금으로 여러 신사업에 투자하고 싶지만 주주들의 성화를 감안해 배당을 투자보다 우선시 할 수 밖에 없다. 문제는 현금이다. 중소기업의 경우 현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상황이어서 배당을 할 경우 투자재원이 고갈되는 애로가 있는 것이다.
내년부터는 이 같은 상장사들의 고민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4월 상법 개정에 발맞춰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규정에 현물배당제도를 도입해 상장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주식이나 채권은 물론 자사 제품으로도 배당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기 때문이다.
현물배당이 도입될 경우 상장사들은 배당으로 인한 자금 압박에서 벗어나 다양한 신규 사업 진출이 가능하게 된다. 보유하고 있는 자회사 주식이나 채권 등 현재 당장 필요치 않은 자산으로 배당을 할 수 있어서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현금의 범위가 한층 넓어질 수 있게 된다.
한 코스닥시장 고위 관계자는 “배당은 연말이면 다가오는 숙제와 같다”며 “특히 글로벌 경기 악화로 실적이 곤두박질 칠 경우 매년 실시하던 배당을 하지 않을 수 도 없어 어느 정도 규모로 할지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말했다. 실제로 상장사들이 지급하는 현금배당액의 규모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2010년 기준 배당을 실시한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479개사의 총 배당금액은 13조5,000억원으로 지난 2005년과 비교해 회사는 68개사가, 총 배당금액은 3조6,000억원이 늘었다. 2년 연속 배당을 실시한 코스닥시장 상장사 249개사도 지난 해 배당에 4,196억원을 쏟은 바 있다.
무액면주식 제도 도입도 상장사에게는 희소식 가운데 하나다. 액면가를 밑도는 가격으로도 유상증자 등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미래 성장성은 높지만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아 이른바 ‘동전주’로 전락한 소규모 상장자들이 자금 조달이 원활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반기는 분위기다. 지금껏 액면가가 500원인 소규모 기업이 유상증자에 나설 경우 주가가 액면가를 밑돌아도 주식 발행가격을 최소한 500원 이상으로 책정해야 했다. 까닭에 상장사들은 투자자들에게 외면 당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에 주가가 액면가에 미치지 못할 시 대부분이 자금 조달을 포기해왔다.
한 코스닥시장 상장사 기업설명(IR) 담당자는 “지난 리먼 사태 때 주가가 폭락해 계획 중이던 자금조달을 전면 백지화한 바 있다”며 “회사의 미래 성장 가치가 아무리 높아도 유상증자 발행가격이 현재 주가보다 높다면 증자가 성공할 수 없어 고민 끝에 증시 내 자금 조달이 아닌 제2금융권에서 현금을 융통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무액면주식 제도가 도입되면 상황은 달라진다”며 “주가가 떨어져도 액면가 이하로 주식을 발행할 수 있어 회사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덧붙였다.
여기에 무액면주식 제도 도입에 따라 상장사 퇴출 규정도 수술대 위에 오를 전망이다. 무액면주식 제도로 자본금의 경계가 무너지며 ‘전액자본잠식’과 ‘자본금 10억원 미만’ 등 퇴출 규정이 무의미해졌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 측 고위 관계자는 “자본금이 의미가 없어진 만큼 현재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내 퇴출 규정도 손봐야 한다”며 “자본총액이나 시가총액 등이 현재의 자본금의 위치를 대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 또 다른 관계자는 “무액면이라 자본금을 측정할 수 없어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자본총액이나 현재 주가에 주식 수를 곱한 시가총액이 상장폐지 여부를 가늠할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