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긴급 회의를 열어 북한의 로켓발사에 대해 '규탄한다(condemn)'보다는 한 단계 낮은 '개탄한다(deplore)'는 입장을 내놓았다.
안보리 의장인 수전 라이스 주유엔 미국대사는 이날 회의를 마친 뒤 "회원국들이 북한의 로켓 발사가 대북 결의 1718호와 1874호를 위반했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이를 개탄했다(deplored)"며 "이번 사안의 시급성을 감안해 안보리의 책임에 걸맞은 적절한 대응 조치를 내놓기 위해 회원국들이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라이스 대사의 '개탄' 발언은 과거 비슷한 사례에 쓰인 규탄보다는 수위가 낮다. 이는 안보리 이사국 간에 아직 북한에 대한 대응 수위를 조절 중인 것으로 해석된다.
유엔 외교가에서는 안보리가 이르면 이번주 초ㆍ중반에 결과물을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북한의 로켓 발사가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은 중국과 러시아도 동의하지만 추가 제재에는 반대 의사를 표시하는 점이 변수다.
이명박 대통령은 직접적인 대응보다는 외교력을 동원해 차분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 대통령은 로켓 발사 이후 3일이 지난 15일까지 정부 성명 외에 별도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천안함ㆍ연평도 사태 당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한반도 주변 정상들과 전화 통화를 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던 모습과 대비된다.
청와대는 예견된 일로 대응할 시간이 충분했던 만큼 국민에게 불안감을 줄 필요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 참모는 "북한 스스로도 이례적으로 실패를 자인한 로켓 발사를 놓고 우리 정부가 굳이 호들갑을 떨 이유가 전혀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편 추락한 로켓의 잔해를 통해 북한의 장거리 로켓 기술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우리나라와 중국ㆍ러시아 간에 잔해 수거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군은 아직까지는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지만 세종대왕함이 낙하 지점을 포착했기 때문에 잔해를 수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도 정보수집함과 정찰기 등을 서해와 남해상에 급파해 잔해 수거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발견한다 해도 인양이 쉽지 않아 수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우리 군의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