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화 2돌 포스코의 과제

포스코가 민간기업으로 새 출발한지 9월30일로 2년을 맞았다. 포스코는 민영화 이후 국내적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체제에다, 국제철강 경기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경영실적을 올렸다. 민영화 계획이 발표되던 98년 이후 4년 동안 포스코는 68년 창립부터 97년까지 30년간의 순이익 총계보다 1조원 이상 많은 5조1,400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재무구조도 탄탄해져 97년 141%던 부채비율이 작년 말 53.4%로 낮아졌고, 자기자본 비율은 65.2%로 높아졌으며 주가도 5만원 대에서 10만원대로 배가 올랐다. 98년 말 38.1%이던 외국인 주주비율이 올 6월말현재 60.4%에 이르렀다. 계열관계인 포항공대의 3.2%를 제외하면 국책은행인 중소기업은행이 단일지분으로는 최대인 2.27%를 보유하고 있다. 외국인지분을 포함해서 전체주식이 비교적 범적으로 분산돼 있는 셈이다. 정부가 중소기업은행과 투신권 보유 지분을 근거로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 할 여지는 있지만 절대적인 영향력은 60%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외국인 투자자들이다. 이는 포스코의 경영이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할 것이다. 포스코의 경영성과는 민영화가 올바른 선택이었음을 입증해준다. 민영화로 인해 경영의 효율이 높아져, 경쟁력이 향상된 결과라고 할 것이다. 유상부 회장의 현 경영진이 역점사업으로 추진한 구매에서 생산ㆍ판매에 이르는 전 부문에 걸친 과정혁신(Process Innovation)캠페인을 통해 거둔 획기적인 원가절감과 대고객 서비스개선은 그 중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로 평가된다. 포스코는 국내에선 철강제품의 독점적 공급 업체이지만, 국제적으로는 치열한 생존경쟁을 벌여야 한다. 독점기업은 기술개발을 소홀히 하고, 고객을 상대로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기 쉬우나 포스코에겐 그럴 여지가 없다. 국제경쟁에서 이기고,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경영혁신을 게을리 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민영화됐다고 해서 여전한 국가기간산업으로서 공기능을 도외시해서는 안된다. 포스코는 공기업 시절 통치권자의 특별 의지로 정치적 외풍을 막아줘야 할 만큼 외부의 입김이 작용할 여지가 많았고, 정치적 격변기에 외풍에 흔들린 적도 많았다. 현 경영진도 타이거풀스 사건으로 구설수에 오른바 있는데 이를 거울삼아 외부개입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도록 정도경영 투명경영 책임경영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 지배주주가 없이 전문경영인이 경영책임을 맡은 포스코는 한국적 기업풍토에서 경영불안을 초래하기 쉬운 구조다. 공기업 시절 대통령이 해주었던 방풍벽의 역할은 이제 주주들의 몫이 됐다. 그러므로 포스코의 경영진은 주주들에 의해 오로지 실적으로 평가 받는다는 자세로 경영에 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