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2신도시 시장이 먼저 알았다

작년 토지거래 42% 10월부터 연말까지 집중
광주 오포·용인 남사 신고건수는 동탄의 절반
주소 이전도 많아 개발정보 사전유출 의구심


분당급 신도시로 지정된 화성시 동탄 2신도시(동탄면 영천리ㆍ청계리 일원). 정부의 철저한 보안(?) 속에 이뤄진 동탄 2신도시 프로젝트에 시장은 어떻게 움직였을까. 화성 동탄, 광주 오포, 용인 남사 등 분당급 신도시 후보지로 거론된 세 곳의 토지거래 신고현황 등을 살펴보면 시장에서는 이미 지난해부터 화성 동탄을 최적지로 예상하고 움직였다는 징후가 포착된다. 토지거래 신고건수를 보면 이 같은 사실은 금방 드러난다. 동탄면 토지거래 신고현황은 지난해 719건을 기록했다. 올해에도 신도시 후보지가 최종 발표된 지난 1일 이전까지 429건의 토지거래 신고가 접수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올 5월 말까지의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총 1,148건에 이른다. 특히 정부가 분당급 신도시를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지난해 10월 이후부터 토지거래 신고 건수가 급증했다. 지난해 10~12월 3개월 동안 301건이 접수됐는데 이는 지난해 총 접수 건수(719건)의 41.8%에 달한다. 반면 유력 후보지로 거론됐던 광주시 오포와 용인 남사는 찾는 발길이 예전보다는 늘었지만 화성 동탄에 비하면 초라하다. 오포 일대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지난해부터 올 5월까지 245건이다. 용인 남사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 일대 토지거래 신고 건수는 올 1~5월 120건, 지난해에는 500건 접수되는 데 그쳤다. 이 기간 동탄 2신도시 토지거래 신고량의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았던 것이다. 또 하나 눈길을 끄는 대목은 거래 주소를 동탄면(기존 신도시 제외)으로 옮기는 사례도 제법 많았다는 점이다. 지난해부터 올 5월 말까지 동탄면으로 주소를 옮긴 가구는 3,955세대로 세대원을 2명 정도로 가정할 경우 7,900여명이 이곳으로 주소를 이전한 셈이다. 주소를 옮기게 되면 아파트 청약시 다른 지역보다 우대를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입질 덕에 올해 동탄면 토지의 표준지 공시지가 상승률은 19%를 기록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시장에서는 지난해부터 이들 세 곳에 신도시가 조성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고 이중 화성 동탄 일대가 유력 후보지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떠돌았다”며 “시장의 예측이 정부를 앞질러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다가 동탄의 경우 발표 하루 전까지도 건물을 짓겠다는 신고가 124건에 달해 신도시 정보가 사전에 유출된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