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통화증가율 경쟁국중 1위

작년 25.5%로 日의12배…인플레심리 자극우리나라의 통화증가율이 선진국은 물론 주요 경쟁국중에서도 가장 높아 인플레심리를 부추기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이 내놓은 '총통화(M2)증가율 국제비교'에 따르면 한국의 M2증가율은 지난 95년 15.6%에서 외환위기 직후인 98년에는 27%로 높아졌고 99년에는 27.4%, 지난해에는 25.5%를 기록했다. 이처럼 우리나라가 20%대 중후반의 높은 통화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과 달리 일본은 95년 3%, 98년 4.4%, 99년 3.7%, 2000년 2.1% 등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대만의 M2증가율도 95년 9.4%에서 지난해 6.5%로 더욱 낮아졌으며 홍콩은 10.6%에서 8%대로 떨어졌다. 싱가포르 역시 8.5%선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서는 무려 12배, 대만.홍콩 등에 비해서는 3∼4배 통화증가율이 높은 것이다. 실제 일본 등 통화증가율이 낮은 이들 아시아경쟁국은 물가상승률도 우리나라보다 훨씬 낮아 안정적인 통화관리가 물가안정에 중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중국은 M2증가율을 95년 29.5%에서 14.9%(2000년9월)로, 말레이시아는 95년 20.9%에서 11.9%(2000년10월)로 끌어내려 우리나라보다 낮아졌다. 또 미국은 7.3%, 노르웨이 9%, 뉴질랜드 5.3%, 호주는 4.4%로 한자릿수 통화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금융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높은 통화증가율의 지속이 높은 물가상승률과 깊은 연관을 갖는 경향이 있다"면서 "통화증가율을 낮춰 인플레 기대심리를 불식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임선빈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