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들어 이제 불균형울 벗어나 살만해졌나 하고 기대했지만 지난해 11월 국제통화기금(IMF)구제금융을 요청한 이후 국가경제는 뒷걸음치는 수모를 당해야 했고 그 결과로 200만명에 가까운 실업자가 양산되는 불균형을 또다시 맛봐야 했다.국가경제는 물론 실업자와 그 가족들이 경제적 수단을 잃고 나서 받은 스트레스는 사회적·심리적인 불균형 상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존망이나 가족의 생계에 대한 위협이라는 점에서 안타까울 따름이다.
그러나 헤쳐나갈 길은 있다. 미국 하버드대학의 조지 밸리언트 박사는 수십년간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끝에 스트레스가 인간이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 독창적으로 개발해 낸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기재 보다는 강력하지 못하다고 결론을 내린다. 한마디로 스트레스는 마음먹기에 달렸으며 인간에 의해 통제된다는 얘기다.
이같은 기재를 유추해 사회에 적용시켜 본다면 우리 사회는 「국가적 스트레스」를 통제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가 역사의 질곡(桎梏)을 풀어헤쳐 온 것처럼 충분히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우려되는 것은 사회적·국가적 스트레스를 통제하고 이겨나가는 기재를 마련해야 할 사람들이 국민 개인이나 사회에 오히려 스트레스를 주고 있다는 점이다.
스트레스가 쌓여 너무 커지면 인간의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기재는 무너져 버리고 신경증(노이로제)에 걸린다. 우리나라는 을사보호조약과 같이 35년동안 스트레스에 굴복돼 몸져 누웠던 경험이 있다. 우리 사회에 더 이상의 스트레스는 위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