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 펀드 투자기간 다양화"

정부, 국고채 처럼 3·5·10년물 구성 모색
투자자 참여쉬워 조달비용 싸고
펀드 청산때 쏠림현상 분산 효과

임대주택펀드 투자기간이 당초 예상됐던 10년이 아닌 3년, 5년, 10년 등으로 다양화될 전망이다. 7일 정부의 한 관계자는 “펀드 투자기간을 좀 더 다양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며 “국고채 발행기간이 다양한 만큼 임대주택펀드 투자기간도 10년 단일물이 아니라 3년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펀드 투자기간을 다양화하는 가장 큰 이유는 투자자 유치다. 투자자가 몰릴수록 조달 비용(금리)은 낮아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측면이 고려된 것. 정부는 국민연금이나 보험ㆍ우체국 등의 투자유치뿐 아니라 일반투자자도 펀드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기 위해 투신권을 통한 자금모집도 강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재정경제부의 한 고위관계자는 “국민연금이 먼저 (투자)하고 부족하면 다른 데서 채우는 개념이 아니다”면서 “누구라도 낮은 금리를 제공한다면 (임대주택펀드에) 참여할 수 있으며 민간의 참여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펀드 수요자가 많으면 공개경쟁 입찰도 고려하고 있다”면서 “이렇게 될 경우 조달 금리는 당초 예상했던 6%선보다 더 낮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펀드 투자기간은 국고채와 마찬가지로 3년, 5년, 10년짜리로 구성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비중을 10년짜리에 50% 이상 두면서 나머지는 3년과 5년짜리로 분산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자산운용사의 한 임원은 “투자기간이 다양할수록 펀드의 상품구성이 더 탄탄해지고 투자자를 모집할 때도 훨씬 수월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펀드 기간에 따라 책정금리 변화도 꾀할 수 있어 정부로서는 훨씬 효율적으로 상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0년짜리 단일상품으로 판매할 경우 만기 뒤 발생할 환매 쏠림 현상을 분산하자는 의도도 반영됐다. 만기 10년이 지난 후 펀드 청산이 한꺼번에 이뤄질 경우 유동성 제약으로 부담은 클 수밖에 없다. 또 매년 5조원어치 매각 물량이 쏟아질 경우 주택시장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도 크다. 그러나 펀드 만기를 다양하게 할 경우 펀드 청산도 분산되고 비축임대주택 매각도 상대적으로 수월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상황이 여의치 않을 경우 10년 후 매각하기로 한 주택을 앞당겨 팔 수 있다는 측면도 감안했다. 재경부는 이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비축임대주택을 10년 뒤부터 매각하는 게 원칙이지만 시장 상황에 따라서는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