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전문가, 시민, 환경단체 간 찬반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관련, 서병수 부산시장은 23일 “2025년 낙동강의 흐름을 가로막고 있는 하구둑을 완전 개방해 낙동강의 오염으로부터 시민들의 건강을 지키고 낙동강의 생태계를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서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시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하굿둑 조성 이후 30여 년간 지속된 오래된 논쟁을 끝내고 위대한 낙동강시대를 열겠다”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1983년 하굿둑 건설 이후 낙동강 수질은 호수화가 가속되면서 물이 썩고 저층에는 무산소 상태가 발생해 물고기가 대량 폐사해 왔으며, 4대강 사업 이후로는 녹조류 번식으로 취수에도 지장을 초래하는 등 시민들의 낙동강 개방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졌다.
이에 따라 민선 6기 부산시장으로 출마하면서 하굿둑 개방을 공약했던 서 시장은 먼저 ‘하굿둑 수문 조절로 하구 기수역 복원이 가능하다’는 환경부의 최근 용역 결과에 대해 “하굿둑으로 인해 발생하는 생태계 문제, 상수도 취수에 지장을 주는 문제 등에 대한 명쾌한 해답을 기대했는데 매우 실망스러웠다”며 “부산 시민이면 모두 다 아는 기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연구결과를 제시하지 못했고 이제 환경부 용역이 끝났으니 개방 논의는 국토부와 하라는 식으로 발을 뺐다”고 비난했다.
서 시장은 환경부를 통해 지난 3년간 두 차례에 걸쳐 용역을 집행한 근본적인 이유가 개방불가를 고수하는 국토부의 고집스러운 입장 때문이 아니라 공정하고 권위 있는 연구기관을 통해 이 문제를 바로 보자는 것이었으나 환경부의 용역을 통해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시장으로서 더 이상 이 문제를 중앙정부의 논리에 맡길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이제 30년간 계속된 소모적인 논쟁을 끝내야 하며, 그 중심에 낙동을 끼고 사는 부산시민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한 로드맵으로 서 시장은 △낙동강의 완전개방을 2025년까지 추진 △공업용수의 취수원을 2016말년까지 덕산정수장으로 이전 △ 농업용수의 염분피해를 줄이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와 기재부와 협의 △식수 취수원 이전과정수시설 개선은 2025년까지 추진한다는 등의 내용을 제시했다.
서 시장은 “중병이 들어가는 낙동강을 이대로 방치하면서 낙동강 시대를 열 수 없다”며 “시민 여러분이 다소 불편하더라도 자라나는 후손을 위해 낙동강을 살리고 지금부터 부산의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자”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개방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시 상수도사업본부에 실무기획팀(TF)을 두고 농민과 어민, 공업용수를 사용하는 제조업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환경부와 국토부 등 중앙정부에 대해 서 시장은 “하굿둑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수원 오염, 환경 생태계 파괴 등 부산시민의 희생을 방치하는 낙동강 정책을 과감히 바꿀 것을 요청한다”며 “개방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항구적인 조치에 정부가 적극 나서달라”고 요구했다.
낙동강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울산시, 경남도 등에도 “부산, 울산, 경남은 낙동강을 함께 나누면서 발전해온 공동체”라며 “개방과 관련한 광역협의체를 설립해 낙동강의 공동이용, 하굿둑 개방으로 인한 피해조사 및 대책 논의에 함께 나서달라”고 제안했다.
부산 사하구 하단동과 강서구 명지동 사이에 지어진 낙동강 하굿둑(길이 2.4㎞)은 바다와 인접한 강 하류 지역의 염분 피해를 막고 부산권의 식수원을 확보하기 위해 건설됐으나, 이후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부각되면서 개방과 철거를 둘러싼 논쟁이 30년여 년째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