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銀 인수때 차입 많아지지만 하나금융 재무건전성 영향 제한적"

한국기업평가 보고서

"자본적정성은 떨어지지만 우려할 수준은 아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가 최근 내놓은 '하나금융지주의 외환은행 인수에 따른 자본적정성 지표변화추정' 보고서는 하나금융이 외환은행을 인수할 경우 이중레버지리비율은 8.4%포인트 상승하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0.3%포인트 하락한다고 밝혔다. 이중레버리지비율이란 자기돈으로 자회사에 얼마나 투자하고 있는지를 보는 지표다. 자기돈으로만 하게 되면 100%가 되고 외부차입이 많아질수록 수치가 올라간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난 9월 말 현재 117.5%였던 하나금융지주의 이중레버리지비율은 사채발행 등으로 외환은행 인수 후 126%로 올라갈 것으로 추정됐다. 또 BIS 자기자본비율은 11.8%에서 11.5%로 감소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자기자본이 14조3,000억원에서 20조5,000억원으로 6조2,000억원 증가하지만 외환은행의 위험가중자산이 57조3,000억원이나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편 하나은행의 BIS 자기자본도 배당금 등으로 11조9,000억원에서 10조원으로 감소하며 BIS 자기자본비율도 15.7%에서 13.2%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보고서는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가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중레버리지비율은 타금융지주와 비슷한 수준(우리금융 124.9%)이고 BIS 자기자본비율도 절대적인 수준에서 높은 편이라는 것이다. 김봉식 한국기업평가 수석연구원은 "내년부터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시 자산재평가에 따른 자기자본증가 효과를 감안하면 자본적정석 지표의 저하 수준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외환은행 인수 후에도 현신용등급(AAA, 안정적)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