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에서 최근 거시경제 상황이 위앤화 평가절상을 필요로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위앤화 평가절상 논의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의 중국 때리기에 초점이 맞춰졌던 위앤화 평가절상 논쟁도 이제는 경제상황 논리에 따른 `불가피론`쪽으로 옮겨가는 등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 위앤화 평가절상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막대한 페그제 유지비용 때문. 13일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AWSJ)에 따르면 중국은 달러 당 8.27위앤 선에서 환율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해 1,600억 달러를 매입, 외환보유고가 총 4,300억 달러에 달했다. 달러 매입은 곧 위앤화의 통화량 증가를 가져온다는 점에서 이는 중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시키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실제 지난해 중국의 시중 유동성은 20% 증가, 12월 인플레율이 6%에 육박했다.
그러나 중국 통화당국은 인플레 통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금리 딜레마 때문이다.
경기과열과 인플레 진정을 위해서는 금리를 높여야 되지만 이럴 경우 미-중간 금리차 확대를 노린 투기자금이 대거 유입, 페그제 유지비용 증가→인플레 압력 가중 이란 악순환에 빠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중국 당국 입장에서는 차선책으로 위앤화 평가절상에 나설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이와 관련, 중국 통화당국은 13일 위앤화를 기본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환율 메커니즘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혀 위앤화 평가절상 검토 계획을 시사했다. 특히 이를 논의하기 위해 미 재무부팀이 수주 내 중국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위앤화 평가절상 신호로 단정짓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아직도 페그제 유지에 따른 이점이 있는데다 조기 평가절상을 단행할 경우 외압에 굴복했다는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은행권 구조개혁이 선결돼야 한다는 이유를 내세워 최대한 시간 벌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많다.
<김창익기자 window@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