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사정관제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각종 평가 요소와 자료에 대한 공통 운영 기준이 마련된다.
그동안 일부 대학의 경우 공인어학시험 성적 등을 요구하는 등 입학사정관제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전형을 개발, 운영해 비판을 받았다.
이에 입학사정관제 평가 요소 및 기준, 기본 원칙, 평가의 공정성·신뢰성 확보를 위한 공통 운영 절차를 비롯해 공통기준을 준수하지 않거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는 대학에 대한 한국대학교육협의회차원의 자율 규제 계획 등이 마련될 것으로 전망된다.
예를 들어 '교과 관련 활동' 평가 영역에 있어서는 교과성적과 학년별 성적추이, 학업 관련 탐구활동, 방과 후 학교 활동을 평가요소로 하고 방과후학교 활동의 경우 학생부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스템을 평가자료로 해 동기와 목적ㆍ소감 등을 평가 지표로 하는 방식의 '공식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지원자에게 특정 스펙 등을 포함한 명시적인 포트폴리오 제출을 요구하지 않되 학생부에 지원자에 대한 많은 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하고 기록된 사항은 따로 증빙서류를 요구하지 않는 방향으로 운영 방식을 개선하기로 했다. 학교별로 다양한 서류 서식을 통일하고 내용도 간소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형절차, 전형방법, 전형요소, 입학사정관 역할 등 입학사정관 전형 실시 현황을 지속적으로 조사, 관리해 건전한 입학사정관제 운영을 유도하고 장기적인 추적 연구를 통해 고교 교육과정 운영 등에 대한 입학사정관제의 영향을 파악할 계획이다.
이 밖에 대학 입학사정관제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 과정을 과목별로 세분화하고 일선 고교에 입학사정관 진로 보조 전담인력을 배치하는 등 학교 현장에서의 입학사정관제 준비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 고등교육법 내에 없는 입학사정관의 법적 근거를 조속히 마련하는 등 입학사정관의 신분안정 문제도 모색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