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서울을 이어주는 수도권 광역급행버스(M버스) 운영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계획이 운송업체들의 외면 때문에 차질을 빚고 있다. ★서울경제 18일자 28면 참조
국토교통부는 2월 사업자 공고를 낸 광역급행버스 7개 노선 가운데 남양주(평내·호평)~잠실역 등 3개 노선만 사업자를 찾았을 뿐 나머지 4개 노선은 유찰됐다고 18일 밝혔다.
이처럼 광역급행버스 노선 입찰이 지지부진한 것은 운수업체들이 사업성이 없다며 참여를 꺼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실제로 이미 운행 중인 노선 가운데에도 이용객이 적어 버스 한 대당 적자가 하루 35만원에 달하는 곳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30㎞당 2,000원인 기본 요금을 3,000원까지 올리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M버스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현재 노선별 이용객과 운영손실 등을 파악하고 있다"며 "기획재정부가 물가안정을 이유로 공공요금 인상을 반대하고 있지만 조사 결과에 따라 요금 인상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에 낙찰업체를 찾지 못한 파주(운정)~양재역과 남양주(진접)~동대문, 인천(송도)~신촌, 용인(기흥)~서울역 등 4개 노선을 운영할 사업자 모집 공고를 다시 낼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18개인 M버스 노선을 올해 안에 25개까지 늘린다는 복안이지만 현재의 상황을 감안하면 정부의 계획대로 될지는 미지수다.
2009년 도입된 광역급행버스는 전원 좌석제로 수도권에서 서울까지 4~6개 정류소에만 정차하고 중간정차 없이 운행하는 급행 버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