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터키, 중동 3개국 순방과 때맞춰 중동에서의 수주 확대 기대감이 커지면서 정부가 전성기를 맞고 있는 해외 건설에 대한 지원정책을 다각도로 수립하고 있다. 특히 국내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와 수주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 건설업체들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한 논의가 뜨겁다.
지난달 24일 해외건설협회에서 대통령 주재로 개최된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제2의 중동 붐'을 맞아 해외 건설 수주 환경에 해빙(解氷)의 불씨를 지피기 위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전격적으로 이뤄진 바 있다.
노하우 부족해 단독진출 어려워
이 자리에서 중소 건설업체들의 해외 진출 확대를 위해 대기업들과의 협력 강화가 특별히 당부되기도 했다.
이어 28일에는 공기업과 시공업체, 엔지니어링업체 및 각 업종별 단체들의 '건설분야 해외 진출 협력 강화 워크숍'공동 개최를 통해 중소 건설업체와 엔지니어링업체가 공기업ㆍ대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모색했다.
사실 중소업체나 중견 주택업체들이 본격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 것은 국내 부동산경기 위축이 본격화하고 공공공사 발주도 감소 추세에 접어든 지난 2000년대 중반부터다. 매년 수주 규모가 감소하고 있는 국내시장 상황에 비춰볼 때 중소업체들의 해외 진출 확대 움직임은 일종의 고육지책으로 보여진다. 국내 건설시장은 2007년 128조원에서 2010년 103조원 규모로 급감했지만 해외 건설시장은 매년 5%가량 성장을 거듭했다. 이에 따라 해외 진출 경험과 인력ㆍ자금력이 턱없이 부족할지라도 중소기업 역시 해외에서 생존 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 돼버렸다.
그러나 어느 산업에서건 충분한 준비 없이 뛰어든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더욱이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으로 무장한 화려한 배경의 스타 플레이어들이 치열하게 경합하는 글로벌 각축장에서라면 주도권 확보는커녕 생존 자체를 걱정해야 하는 것이 실상이다.
해외 시장에서의 실적 하나하나가 절실한 중소 업체들로서는 무리를 해서라도 해외 진출을 시도할 수밖에 없는데, 이로 인해 자칫 회사가 큰 손실을 입거나 위기에 처하는 경우도 많다. 각종 미확인 정보와 루머들이 난무하는 데다 정보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독이 쉽지 않은 해외 건설시장의 특성은 해외 진출 노하우와 자금여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중소업체들이 쉬이 넘기 어려운 장벽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외 건설인력난 해소와 우리 업체 간 과당경쟁 문제 해결에 못지않게 대ㆍ중소기업 간 상생협력과 동반진출이 국가적 어젠다로 자리잡은 지금, 국가역량 결집을 통한 지원과 해결이 절실한 시점이다.
대기업과 동반진출 활성화돼야
해외건설협회 역시 중소기업수주지원센터를 통해 타당성 분석, 금융조달, 계약, 시공 및 공정관리 등 다양한 과정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법률ㆍ금융ㆍ기술 분야 전문가 무료 자문을 통해 중소업체들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시장개척 지원사업에서 중소기업 지원 비중을 확대해 진출에 따른 초기 매몰비용을 지원함으로써 중소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고 있으며, 해외지부 운영을 통해 수주정보 제공과 컨설팅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중동시장은 우리나라 해외 건설 수주고의 60%가량을 차지하는 주력시장이다. 지역 다변화와 공종 다각화라는 기본전략도 중요하지만 시장 규모와 사업 매력도가 월등한 중동 지역 진출 활성화라는 미시적 관점의 전략 조율작업 역시 중요한 시점이다. 중동 붐으로 들어선 모처럼의 큰 장(場)에서 대기업과 중소업체들 간의 동반진출 확대를 통해 침체기에 놓인 건설산업 전반에 따스한 봄 기운이 가득 임하기를 소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