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실종자 구조작업에 참여하고 있는 민간 잠수사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해경 측에서 자신들을 지속적으로 작업에서 배제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정부 측은 민간 잠수사들의 실력이 조개 캐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초보적인 수준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어 양측의 갈등은 봉합이 아니라 폭발 직전까지 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황대영 한국수중환경협회 회장은 전남 진도군 팽목항에서 오전10시께 기자들과 만나 "사고가 난 지 일주일이 됐지만 정부가 여러 조건을 핑계로 민간 잠수사들이 투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며 "민간 잠수사들이 실제로 입수한 것은 17일 단 하루뿐이었다"고 말했다. 돕고 싶다는 순수한 마음에 전국에서 모인 이들은 수색작업에 나서기를 기대했지만 해경 측이 좀처럼 기회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잠수사 등 550명 등을 동원해 구조작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민간 잠수사는 동원만 될 뿐 물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한 민간 잠수사는 "실제로 배를 타고 나가면 준비만 하다 돌아온다"고 말했다.
투입된 민간 잠수요원에게 사고가 발생하면 정부의 책임으로 돌아간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황 회장은 "수색에 참여할 정예요원 19명은 면책동의서를 스스로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면책동의서는 잠수사들이 사고가 날 경우 스스로 책임을 진다는 문서다. 하지만 이마저도 거부당하자 황 회장은 "완전히 (정부에) 기만당했다"고 말했다.
이날 황 회장은 정부에서 바지선을 더 배치하고 가이드라인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면 민간 잠수사들이 작업할 수 있는 상황은 충분히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럴 경우 구조·수색작업 속도가 훨씬 빨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가이드라인을 더 설치하면 줄이 꼬일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사고 선박은 160m가 넘는 대형 선박이기 때문에 현재 설치된 가이드라인과 충돌될 지점을 피하면 된다는 게 민간 잠수사들의 논리다.
이 같은 상황이 불거진 데 대해 황 회장은 "사고가 난 지 일주일이 됐지만 정부 관계자와 대화를 나눠본 적이 없다"며 정부와의 소통 방식에서 문제를 꼽았다.
민간 잠수사들은 또 현재 수색·구조 시스템이 민관군 협업체제라고 거론되는 상황에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작업에 참여하는 민간단체는 정부와 용역을 맺은 한 업체뿐이라는 것이다. 그러자 일부에서는 정부와 계약한 용역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한 민간 잠수사는 "정부와 계약을 맺은 업체는 돈을 벌러 온 것이고 우리는 순수 자원봉사인데 왜 우리를 투입하지 않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민과 관이 갈등을 되풀이하면서 감정충돌도 이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이 "일부 민간 잠수사들은 조개 캐는 수준"이라며 폄하하는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지는 등 양측 간 감정이 격앙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정부와의 갈등이 불거지자 현재 팽목항에 남아 있는 민간 잠수요원은 20여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이 사그라지지 않자 결국 이날 정오쯤 해경 측은 '물때에 맞춰 오늘 오후나 저녁 중 입수한다'는 조건으로 민간 잠수사 20명을 투입하기로 뒤늦게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