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가 현대자동차 노조를 전면에 내세우며 극단적 투쟁방법인 ‘파업’을 선택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가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화물연대 총 파업사태에 이어 금속노조가 ‘산별교섭 결렬’을 빌미로 국내 산업계를 또 다시 파업의 회오리 속으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특히 4만5,000여 조합원을 보유한 국내 최대 노조인 현대자동차 노조가 사실상 이번 금속노조 총 파업의 전면에 나섬으로써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현대차는 물론 1만2,000여개의 협력업체 등도 걷잡을 수 없는 타격에 직면할 것으로 우려된다.
하지만 이번 파업을 둘러싸고 사실상 정치파업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는데다 현대차 노조 지부장의 사법처리 임박과 회사 측의 강경 대응 방침 천명 등으로 현대차 노조도 섣부른 단체행동을 자제하는 분위기여서 금속노조의 파업 동력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금속노조는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올해 임단투 관련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벌여 7월2일 총파업에 들어간다는 내용을 29일 가결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이번 투표 결과는 재적인원 14만1,178명 중 12만7,187명이 투표에 참가, 9만6,036명이 찬성표를 던져 투표자대비 75.1%, 재적대비 68.02%의 찬성률을 나타냈다. 이 가운데 조합원이 가장 많은 현대차 지부는 투표 참여자 4만1,373명(전체 조합원 4만4,757명) 가운데 3만24명이 찬성해 재적 대비 67.08%의 찬성률을 보였다. 기아차와 쌍용차 지부, GM대우차 지부 등 나머지 완성차 4사도 각각 64.8%, 63.3%, 65.2%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금속노조는 2일부터 현대자동차 등 완성차 4사 노조를 중심으로 두 시간 부분파업을 진행하고 4일에는 1만여명이 참가하는 1박2일 확대간부 상경투쟁, 7월 둘째주에는 불참사업장에 대한 순환파업을 진행해 불참자를 압박하기로 했다. 현재로서는 부분파업과 교섭이 번갈아 진행되는 지루한 파업사태가 7월, 길면 8월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이번 파업의 키를 쥐고 있는 현대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 지부)도 산별교섭과 지부 임금협상 쟁취를 위해 회사를 전방위로 압박하고 나섰다. 현대차 노조는 이날 조합원 소식지를 통해 “사측을 압박할 수 있는 힘은 단체행동이며 이를 위해 총 단결하자”며 노조원들을 적극 독려하고 있다. 노조는 또 “유가와 소비자 물가 폭등으로 올해 임금인상 요구안을 수정해야 할 판”이라든가 “당기 순이익(지난해 기준 1조5,000억원)의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라”는 요구를 관철하겠다고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산별교섭에 대해서도 윤해모 지부장은 이날 “중앙 교섭이 성사되야 비정규직 문제 등 여러 사안을 다룰 수 있다”며 “사측이 산별과 대화로 교섭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의 금속노조 파업 동참에 대해 ‘실익 없는 정치성 파업에 총대를 멘다’는 노조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데다 최근 불법파업 혐의로 고소된 윤해모 지부장의 사법처리 임박설, 여기다 ‘무노동 무임금’ 적용을 앞세운 사측의 강경대응 방침으로 노조 집행부가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주 말 파업찬반투표가 끝난 뒤 ‘금속노조 파업을 반대하자’는 노조 내 여론이 확산되자 조합원들의 여론 창구 역할을 해온 노조 홈페이지 게시판에 외부인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아 버렸다. 현대차 울산 3공장 내 조합원 K모씨는 “산별문제와 미국산 쇠고기 수입반대를 목적으로 조합원들에게 파업을 독려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며 “집행부가 조합원들의 실익이 무엇인지 잘 따져서 행동에 나서라”고 주문했다. 회사 측도 노조의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엄정 대응방침을 밝혔다. 현대차의 한 고위 관계자는 29일 “파업 과정에서 회사 측에 손해를 끼치는 위법적인 행동이 있을 경우 법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특히 파업기간 동안에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이와 함께 노조원을 대상으로 설득작업도 계속해나가기로 했다. 이는 금속노조 차원에서의 파업은 가결됐지만 현대차 조합원들 사이에서는 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 강행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고유가 등으로 위기 상황이 고조되고 있어서 어느 때보다 파업의 명분이 약해 노조의 파업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 현대차의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