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산업은행의 변명

산업은행이 현대차그룹의 계열사 채무 탕감 로비 의혹에 휘말려 있다. 산업은행은 현대차그룹 부품계열사인 위아(옛 기아중공업)와 메티아(옛 아주금속공업)의 채무를 탕감해줬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물론 산업은행은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지난 97년 기아자동차 부도 후 발생한 부실채권을 합법적인 방법으로 자산관리공사(캠코)에 매각했으며 이 과정에서 채권액이 할인되기는 했지만 불법 행위는 없었다는 게 산은의 주장이다. 산은은 “2001년 당시 위아와 메티아는 부실기업이었고 이들 회사의 채권은 부실채권이어서 회수가 불가능해 부실채권의 캠코에 대한 매각은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고 해명한다. 17일 당시 산업은행의 부총재와 실무담당자에 대한 구속영장이 17일 법원에서 기각되자 산은은 자신들의 해명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산은의 주장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궁금한 게 있다. 산은이 부실기업이라고 주장하는 위아는 2001년 612억원의 순이익을 냈고 2002년에도 673억원의 순익을 기록, 흑자 경영을 이어갔다. 이에 대해 산업은행 기업구조조정실의 한 관계자는 “2001년 위아가 흑자 상태였지만 산업은행이 보유한 채권은 위아가 워크아웃 당시에 발행한 채권인 만큼 캠코를 통해 매각한 것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산은의 주장에 대해 “부실채권이 발생했던 기업이 정상화됐을 경우 연체 이자까지를 비롯해 원금 회수에 나서는 것이 당연하지, 예전에 발행된 부실채권을 할인까지 하면서 매각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입을 모은다. 산업은행은 2001년 현대차그룹에 편입돼 흑자 경영을 이뤄낸 위아와 메티아의 부실채권을 캠코로부터 되사온 후 손해를 보면서 구조조정회사에 매각하는 친절(?)을 베풀었다. 이 과정에서 공적자금이 투입됐던 위아와 메티아의 부채 중 적어도 550억원이 탕감된 것이다. 산업은행은 특정기업을 위해 존재해서는 안된다. 산은은 복잡한 금융 기법을 설명하기보다는 2001년 흑자 경영 상태였던 위아와 메티아의 채무 탕감에 나선 이유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