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이 오락과 운동, 외식과 간식비는 물론학원비 등 모든 소비지출을 무차별적으로 줄이는 등 소비심리가 좀처럼 회복되지 않아 내수가 더욱 위축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2.4분기 이후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던 내수침체가 장기화하는것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서비스업생산이 4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서 살아날 기미를 보이던 소비심리가 다시 사그라드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대표적인 소비지표인 도.소매 판매와 음식점업 등이 끝없는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어 하반기에 소비가 살아날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소비 심리는 한겨울
소비자들은 소득이 늘어나는데도 오히려 소비를 줄이고 있다. 이처럼 꽁꽁 얼어붙은 심리는 내수를 더욱 위축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다.
올해 1.4분기 전국 가구와 도시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277만7천원과 286만6천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 6.8% 늘어나는 등 소득은 증가하고 있는데 소비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소득이 늘어나면 소비도 늘어나는 게 순리인데 국내외 경제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이 서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소비심리와 밀접한 홈쇼핑(-14.0%), 자동차 판매(-14.3%), 음식점업(-3.2%), 신용카드 판매 등 비통화금융기관(-18.7%) 등의 매출 감소세가 두드러진 것이 이런 풀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홈쇼핑 등을 포함한 소매업은 작년 2월 이후 16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벌이고있으며 자동차.차량연료 소매는 작년 7월 이후 11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음식점업은 작년 극심한 내수침체속에서도 조금씩 증가세를 보였으나 작년 12월부터는 6개월째 하락세를 나타냈다.
짧게는 6개월, 길게는 16개월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소비침체의 장기화가 더큰 문제다.
◆업종별 양극화
수출과 내수업종간 양극화가 서비스업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지원 업종인 운수업은 8.9%가 증가, 작년 4.4분기 이후 5%대 이상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연구.개발, 정보처리 등을 하는 사업서비스업 생산(-0.8%) 통계작성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운송업 중 육상운송업은 도로화물운송업(17.2%), 철도운송업(15.5%) 등에서 두드러졌으나 여객운송업(-6.4%)은 줄어 운송업에서도 소비심리와 관련된 부분은 성적이 나빴다.
수상운송업은 외항선과 내항선박의 운송화물이 모두 크게 늘어 무려 21.6% 증가를 기록했고 항공운송업은 화물증가로 21.3% 늘어났다.
또 수출증가로 보증보험이 급증하면서 보험, 연금업이 17.4%나 증가하는 등 작년 이후 평균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수업종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업서비스업은 2000년 서비스업통계조사가 시작된후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사업서비스업 중 컴퓨터운영업은 1.0%로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상승폭이 전달의9.4%에서 급감했고 연구.개발업은 -0.7%, 과학.기술서비스업은 -2.6%를 기록했다.
이밖에 영화.방송.공연산업은 국산영화의 선전으로 9.6%가 증가하며 작년 9월이후 9개월째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정부 정책도 소비심리에 영향
정부의 부동산투기 억제 정책과 과외열풍을 잠재우기 위한 EBS수능방송이 불황을 모르던 부동산.임대업(-11.6%)과 교육서비스업(-6.6%) 침체에 일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5개월째 감소세를 보이는 부동산.임대업은 감소폭이 3월까지만 해도 한자릿수에 그쳤으나 4월 이후 두자릿수로 커지는 등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건설업은 수주액이 올들어 20% 이상 감소, 하반기 이후 침체를 예고하고 있어부동산.임대업의 하락세가 더욱 가속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부동산.임대업의 침체는 건축기술.엔지니어링서비스업(-6.6%)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서비스업은 학원에서의 수업료 수입이 9.6%나 감소한 게 침체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다.
학원료 수입은 올해 1월 -0.7%, 2월 -0.5% 등 소폭 감소에 그쳤으나 EBS수능방송이 자리를 잡아가면서 3월 -4.3%, 4월 -11.0% 등으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교육서비스업의 감소는 경기침체의 영향도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내수회복 불투명
문제는 앞으로 언제 소비가 회복될지 불투명하다는 점이다.
고유가가 여전히 복병으로 남아있는 가운데 국내 정치상황에 대한 불확실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정부의 부분적인 내수진작책들이 힘을 발휘하기 힘들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특히 수출이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나 고용, 투자와 연결되지 못하면서소비자들의 얼어붙은 심리를 풀어주지 못하고 있다.
정부도 이같은 상황에 대해 전반적인 회복기조는 유지되고 있다고 보고 있지만가계신용위험, 높은 신용불량자 숫자, 중소기업 자금난, 실업난 등이 해결되지 않는한 소비가 획기적으로 살아나기는 힘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하반기 추가경정예산편성을 포함한 4조5천억원의 재정확대방안을 추진하는 등 기존의 일자리 창출과 서민생활 안정대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는입장이다.
정부 관계자는 "현재 상황으로는 내수부진이 조금 오래갈 것으로 전망된다"고지적하고 "좀 더 시간을 두고 추이를 지켜봐야하며 새로운 대책은 마땅한게 없다"고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