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통 전보서비스 ‘애물단지’

◎기본료 81년이래 5백원… 작년 853억 적자/민영화전 요금 인상등 수지개선 노력해야긴급통신수단으로 오랫동안 인기를 끌어온 한국통신의 전보서비스가 비현실적인 요금체계와 각종 규제, 적자 등으로 민영화를 앞둔 이 회사에 있어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올해로 1백11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전통있는 통신서비스인 전보는 연간 1천8백만건의 이용건수에다 최근 3년동안 연평균 11%의 성장 등 여전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사업이 적자라는 것이다. 한국통신은 지난해 전보사업에서만 약 8백53억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밝히고 있다. 기본 요금(20자 기준)이 지난 81년이후 15년이 지나도록 5백원으로 묶여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게 이 회사의 주장. 우체국에서 전보접수를 전담하는 인원을 별도로 배치, 적잖은 인건비 부담도 안고 있다. 이 사업의 적자는 민영화를 앞둔 한국통신의 새 고민거리가 되고 있다. 적자사업을 계속 끌고 가면서 민영화를 추진할 경우 적잖은 부작용이 초래될 것이기 때문. 이에따라 한국통신은 최근 전보사업 경영개선방안에 관한 공청회를 여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통신은 오는 99년까지 3단계로 나누어 기본요금을 현행 5백원에서 최고 2천2백원까지 인상하고, 2000년부터는 완전 자율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전보접수도 우체국 창구접수를 폐지하고 PC통신이나 「115」번 전화접수로만 해야 한다는 주장. 아울러 긴급전보인 경우 전화로 먼저 전달하고 전보장을 다음날 전달하는 방향으로 전달체제도 바꾸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는 것이다. 진홍칠 한국통신 전보사업부장은 『민영화가 되면 사업부간의 적자 보전이 불가능하게 돼 어떤 형태로든 이 사업부문을 흑자전환시켜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민영화 이후 사업을 포기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진사업부장은 특히 『현재 전보는 원래의 긴급통신수단에서 경축, 조위용으로 성격이 바뀌고 있어 이에따라 요금체계와 접수 및 배달체계가 바뀌어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백재현>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