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억분의 1m보다 작은 생체분자운동 국내 연구진 정밀측정 성공

서울대 홍성철교수 주도 12일자 사이언스지 게재


10억분의 1미터보다도 작은 생체분자 운동을 정밀하게 측정ㆍ제어하는 실험이 국내 연구진 주도로 성공했다. 서울대는 11일 홍성철(사진) 서울대 물리ㆍ천문학부 교수가 주저자로, 하택집 일리노이대 교수가 책임저자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담아 발표한 논문이 10월 12일자 사이언스지에 게재된다고 밝혔다. 홍 교수에 따르면 몸 속 생체분자의 전이상태는 분자의 반응과정을 이해하고 응용하기 위해 규명이 필요한 분야로 아직까지 그 실험방법이 극히 제한돼 있다. 분자가 전이상태에 머무르는 시간이 극도로 짧기(1조분의 1초 수준) 때문.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광학집게와 단일분자 프렛 기술을 결합하는 방안이 최근 세계 과학계에서 추진돼 온 상태로 연구팀은 실제 결합에 마침내 성공, ‘Holliday junction’이라 불리는 DNA 분자의 형태전이 메커니즘과 전이상태를 규명했다. 홍 교수는 “이 같은 성과는 앞으로 분자의 전이상태를 이해하는데 상당한 기여할 할 것”이라며 “특히 생체분자들은 힘과 비틀림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이번 연구가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