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모기지 2차 역습 다가온다

10년짜리 대출 원금상환 본격화… 부실 급증 우려
모기지관련 추가 보상금도 최대 1000억달러 달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부른 미국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의 2차 역습이 시작됐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지금은 이자만 갚고 있는 서브프라임 대출자들이 4년 뒤 본격적으로 원금상환 압박에 시달릴 경우 부실대출 증가로 은행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8일(현지시간) JP모건ㆍ뱅크오브아메리카(BoA) 등 미 대형은행들이 모기지 관련 법적 분쟁으로 투자자 등에게 최소 565억달러, 최대 1,040억달러를 추가 보상해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미 JP모건은 최근 모기지 투자자들에게 45억달러를 주기로 합의했고 BoA도 2011년 85억달러를 제시했으나 기관투자가들의 반발로 소송을 벌이고 있다.

모기지 판매 보상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은행들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에 따르면 미 대형은행들의 3ㆍ4분기 순이익은 360억달러로 4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다. JP모건이 최근 소송비용과 벌금 등으로 72억달러를 지급하며 2004년 이후 처음으로 순손실을 기록한 여파 때문이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은행들의 손실이 서브프라임 사태 발생 꼭 10년 만인 오는 2017년 최고조에 달할 2차 폭풍에 비하면 잔물결에 불과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미 은행들은 2003~2007년 부동산 거품기 때 대부분 10년 뒤부터 원금을 상환하는 서브프라임 상품을 대거 팔아치웠다. 실제 미 주택신용대출은 2003년 3,461억달러에서 2007년 말 6,114억달러로 77%나 급증했다.

또 전체 모기지 대출에서 서브프라임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12%에서 2006년 16% 이상으로 급증했다. 앤서니 샌더스 조지메이슨대 부동산금융과 교수는 "당시 은행은 수익을 위해 상환능력이 없는데도 돈을 빌려줬고 대출자들도 집값이 오르면 차익을 남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 집값이 급락한 마당에 원금상환일까지 돌아오면서 신용도 낮은 대출자들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이자율 3.25%에 30만달러를 빌린 대출자의 경우 상환액이 현재 월 81달러에서 293달러로 3배 이상 늘어난다는 게 신용평가사 피치의 설명이다. 더구나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양적완화 축소가 내년 3월 말께 시작되면 시중금리도 오르면서 대출자의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미 원금상환이 시작되면서 이상조짐은 여기저기서 나타나고 있다. 소비자신용평가 업체인 에퀴팩스의 에이미 크루스 커트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003년 대출자의 채무불이행 비율이 대출 당시 3% 수준에서 최근 5.6%로 급등했고 연말에는 6%에 이를 것"이라며 "일부 대출자는 대재앙의 물결 앞에 있다"고 우려했다. 또 원금상환이 시작되는 모기지 대출액은 내년 290억달러, 2015년 530억달러, 2016년 660억달러, 2017년 730억달러 등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은행들도 대출 부실화에 대비해 원금을 갚지 못하는 소비자에 대한 개인 워크아웃 도입, 원금상환 기간 연장 등 대책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BoA의 경우 주택대출 미지급 가능성에 노출된 계정이 2015년 80억달러에서 몇년 뒤 570억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으며 JP모건도 내년 80억달러에서 2017년에는 300억달러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은행들은 미 부동산시장이나 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전반적인 은행 부실로 발전할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BoA는 "미지급 노출 계정 가운데 실제 부실화 비율은 9%로 예상된다"며 "대형은행에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부실대출이 서브프라임 사태 때처럼 급증하면서 은행 건전성에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는 우려도 많다. 커트스 이코노미스트는 "주택대출은 2순위 채권으로 최악의 경우 90%나 손실 처리될 수 있다"며 "현재 추정되는 부실대출은 빙산의 일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 통화감독청의 대린 벤하트 대표감독관도 "궁극적으로 부실대출이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며 "한번 리스크가 터지면 은행들이 대비하기도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