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4·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최근 주춤해지고 있는 부동산 시장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단순히 기준금리 인하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경제가 본격적인 유동성 장세로 진입하는 것으로 해석해 더욱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 역시 4·1 부동산 대책의 효과에 금리 인하로 인한 시중 유동성이 풍부해진다면 부동산 시장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집값 하락세를 주도하던 '하우스푸어'의 경우 금리가 인하됨에 따라 이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어 이전과 같이 급매 형태의 매매가 감소해 집값 하락세를 진정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아울러 시중금리와 부동산 임대수익률 간의 스프레드(금리 간 차이)가 커지면서 수익형 부동산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김규정 우리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최근 자산가들의 투자 형태는 레버리지 없이 자기자본만을 가지고 자산을 운용하려는 경향이 강하다"며 "금융권의 이자율이 떨어진다면 4~5% 이상의 임대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는 상업시설이나 오피스ㆍ오피스텔 등 임대수익형 상품에 자금이 몰릴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하지만 섣부른 기대감은 금물이라는 의견도 있다. 현재 부동산 시장이 유동성이 부족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실물경제의 위기감이 줄어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본격적인 회복세는 실물경제 회복이 동반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전문위원은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경우 금리 인하에 따른 투자 수요가 증가할 수 있지만 부동산 시장의 주축인 주거용 부동산 시장은 실수요 시장으로 재편된 만큼 금리 인하 효과가 적을 수 있다"며 "실물 경기 회복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영향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4·1 부동산 대책 직후 수천만원씩 호가가 급등했던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 1단지의 경우 불과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가격이 다시 대책발표 이전으로 회귀하고 있다. 집주인들이 단기간 매도가격을 올려 불렀지만 매수자들이 나서지 않으면서 거래가 두절됐기 때문이다.
한편 한은의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4ㆍ1 대책 때 발표했던 생애 첫 주택구입자금 대출 금리의 추가 인하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