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진국의 출구전략에 대비해 보유 외환을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됐다. 동시에 신흥국 간 정책공조를 강화해야 선진국의 출구전략에 대응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하지만 신흥국은 국제공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충격 흡수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선진국의 출구전략이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복잡함에도 신흥국의 경험부족이 원인이다.
3일 한국은행이 개최한 '2013년 한국은행 국제 컨퍼런스'에 참석한 경제석학과 국제기구관계자들은 글로벌 유동성에 대해 적지 않은 우려감을 보였다.
조너선 오스트리 국제통화기금(IMF) 부국장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해 자본이동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국제적 규범 마련의 필요성도 높아졌다"며 "자본이동 관리를 위한 다자간 정책공조를 통해 외부효과를 부분적으로나마 내재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용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아시아 10개국 경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정책적으로 ▦은행 부문 건전성 ▦자산시장 모니터링 강화 ▦충분한 보유 외환 유지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장피에르 랑도 전 프랑스 중앙은행 부총재는 "선진국의 출구전략이 미치는 영향은 예상보다 복잡해질 수 있으며 글로벌 유동성의 높은 변동성을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랑도 전 부총재는 "대부분 중앙은행이 그동안 국내목표만 감안해 통화정책을 수행해 최근 대두된 국제공조에 소극적이지만 정책공조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개회사에서 "향후 선진국의 출구전략으로 글로벌 유동성이 축소되는 경우에도 신용정책으로 경기둔화ㆍ금융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는 "무역금융을 확대해 무역축소를 방지하고 일시적 신용경색이 발생하는 금융부문에 유동성을 신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사전트 뉴욕대 교수는 이날 별도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이 저성장을 혁신으로 돌파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사전트 교수는 "한국은 경제기적을 이뤘지만 이제 미국처럼 성장이 느려지고 있다"며 "연구개발(R&D)과 혁신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출구전략에 대해서는 "전례 없이 실험적인 정책"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양적완화가 큰 변화를 이뤄낸 것으로 보이지 않고 경제이론에 따르면 출구전략도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물론 이론이 틀리고 출구전략으로 많은 문제가 불거질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는 양시론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