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여성 10명중 3명 "결혼보다 일!"

미혼 남성 절반 경제적 부담 때문에 자녀 기피

미혼 여성 10명중 3명은 결혼보다 일에 더 열중하기 위해 결혼하지 않으며, 미혼 남성 절반 가량은 경제적 부담 때문에 자녀가 없어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펴낸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와 대응과제에 대한 협동연구 자료에 따르면 미혼여성들의 26.2%는 `나의 일에 더 열중하기 위해'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올해 미혼남성 384명과 미혼여성 38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것이다. 또 미혼여성의 24.4%는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기때문'이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경제적 기반 부족(20.1%) ▲상대방에게 구속되기싫어서(9.8%) ▲결혼으로 인한 책임 부담(9.3%) ▲결혼은 여성에게 불리(4.4%) ▲기타(5.9%) 등을 꼽았다. 미혼남성의 경우 결혼 계획이 없는 이유로 35.7%가 `경제기반 부족'을 꼽아 여성보다 결혼 후 경제적인 책임에 대해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혼남성은 또 결혼 계획이 없는 이유로 ▲나의 일에 더 열중하기 위해(21.4%)▲결혼해야한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14.8%) ▲결혼으로 인한 책임 부담(8.6%) ▲상대방에게 구속되기 싫어서(6.5%) ▲기타(11.4%) 등을 꼽았다. 미혼남성은 결혼이 여성에게 불리하냐는 질문에 1.6%만 동의, 여성(4.4%)보다그 비율이 크게 낮았다. 연구원은 남녀 공히 경제적 기반과 자신의 일에 대한 열중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는 것은 최근의 경제적 불황이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가 높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특히 여성의 경우 결혼계획이 없는 이유로 상대방 구속, 결혼에 대한책임, 결혼제도의 불합리성 등 결혼 자체에 대한 문제(총 23.5%)가 남성(16.7%)보다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미혼자들은 결혼 후 자녀가 없어도 된다는 이유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남성은 45.5%가 경제적 부담을 우선적으로 꼽았고 다음으로 `부부의 애정만으로도 충분' 41.6%, `아이 별로 좋아하지 않음' 5.6%, `내 일을 하는데 부담' 5.1% 등의 순이었다. 여성은 자녀가 없어도 되는 이유로 43.6%가 `부부의 애정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경제적 부담' 38.1%, `내일을 하는데 부담' 12.3%, `아이 별로 좋아하지 않음' 3.8% 등이었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