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취업 '하늘의 별따기'... 사회 '시한폭탄'

09/22(화) 17:44실업에는 안전지대가 없다. 생산직 근로자인 블루칼라나 사무직 근로자인 화이트칼라에게나 전혀 예외가 인정되지 않는다. 이바람에 하얀색 와이셔츠로 대별돼 안정된 직장으로 평가되던 사무·관리직 노동자들이 IMF체제이후 무더기로 일자리를 떠나 거리를 헤매고 있다. 안정된 직장, 정확한 퇴근시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던 은행원들을 비롯, 대기업 회사원, 연구원, 공무원 등 한때 세인들의 부러움을 받던 사무직 노동자들이 누구나 거의 예외없이 실업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언제 자기의 자리가 없어질지 아무도 모르는 살벌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조흥, 상업, 한일, 외환은행 등 대형 시중은행들은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지난해말 기준으로 40%의 인원을 내보내라는 통보받았다. 한 창구에서 일하던 은행원 10명중 직급에 관계없이 4명은 나가야 한다는 얘기다. 이같은 현실은 대부분 화이트칼라에게 거의 예외없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사무직 근로자들은 기획·관리 등 후선부서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에 공장이나 작업현장에서 일하는 기술자에 비해 일자리를 잃게 될 확률이 높으며 일단 실직되고 나면 마땅히 다른 할 일을 찾기도 어렵다. 예산청 박봉흠(朴奉欽) 예산총괄국장은 『지금까지 정부의 실업대책은 블루칼라의 실업 구제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며 『그러나 내년부터는 화이트칼라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한 예산운용이 필요하게 됐다』고 말했다. 취로사업, 숲가꾸기 사업, 황소개구리 퇴치사업 등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실업대책들은 생산직 근로자에게 임시적인 일자리를 주기 위한 것이었다면 앞으로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위한 사업도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화이트칼라의 몰락에 대비해야 할 정도로 사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미 상당수의 화이트칼라들이 일자리를 잃은 상태다. 아직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비화되지 않은 것은 그들중 상당수는 몇개월정도 견딜 수 있는 부(富)를 축적해 놓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업이 수년씩 장기화되면 화이트칼라의 실업은 사회 전반의 안정을 뒤흔들어버릴 수 있는 「시한폭탄」이 된다. 화이트칼라의 실업은 아직 시작에 불과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내년도에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벗어나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화이트칼라들에게 몇 안 남은 재테크 수단으로 손꼽히는 주식시장도 미증유의 폭락 상태에서 반등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주식투자에 의존했던 실직 화이트칼라 계층의 일부는 이미 빚더미에 앉은 상태다. ◇민간부문= 현재 가장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부문은 은행이다. 강도높은 구조조정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있기 때문이다. 대형 시중은행들은 은행당 3,000~4,000명씩 직원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이 정도 수준에서 그칠 것인지는 아무도 예단하기 어렵다.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인원이 과연 얼마일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직장 자체가 패쇄된 일부 금융기관들은 숫제 해고라는 용어를 쓸 필요도 없다. 직장이 없어지면서 그대로 실업자로 전락한 것이다. 증권사, 종합금융회사 등에서 근무하던 화이트칼라의 상당수가 직장패쇄로 졸지에 실업의 늪에 빠져 버렀다. 삼성, 현대, 대우 등 유수의 재벌 기업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미 명예퇴직으로 많은 사람들이 직장을 떠난 상태다. 인원수가 20~30% 줄어든 것은 평범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아예 계열사가 없어진 곳도 부지기수다. 대기업의 씽크탱크 역할을 해온 경제연구소들도 하나 둘씩 문을 닫고 있다. 이제 퇴직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명예퇴직금을 받고 나가는 것도 호사스러운 추억의 일부일 뿐이다. 언제 누구에게서 갑자기 해고명령을 받을 지 모르는 살얼음판을 걷는 심정이다. 삼성전자에서는 몇달전 담당임원이 몇몇 직원들에게 전자우편(E-mail)를 통해 해고사실을 알려 물의를 빚기도 했다. 「당신은 해고됐습니다. 내일부터 출근하지 않아도 됩니다」라는 문장을 컴퓨터를 통해 보았을 때 해당직원의 심정은 과연 어떠했을까. ◇공공부문= 소위 「철밥통」으로 불리던 공공부문에도 이제 실업문제는 「강건너 불」이 아니다. 민간부문에 비해 강도가 낮고 늦게 시작하기는 했지만 구조조정 작업이 본격 진행중이다. 제일 먼저 경영혁신 방안이 마련된 KDI, 산업연구원, 대외경제연구원 등 59개 출연연구기관은 이미 1,581명의 연구원이 자리를 잃었고 올해말까지 800명 정도가 더 나가야 한다. 한국통신, 담배인삼공사 등 108개 공기업은 올해말까지 1만517명을 감원해야 하고, 2000년말까지는 3만명에 가까운 인력을 내보내야 한다. 133개 위탁기관은 2001년까지 1만3,000명을 순차적으로 줄여야 한다. 공무원도 예외는 아니다. 내년도에만 7,743명의 중앙공무원이 퇴직되고 오는 2000년에는 1만명이 더 나가야 한다. 지방공무원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읍·면·동 등 일선 행정기관들이 통폐합의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2002년까지 현 정원의 30%인 8만7,500명이 실직자의 대열에 끼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부가 내놓은 공공부문에 대한 경영혁신 방안이 국민들의호응을 얻지못하고 지지부진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공공부문의 실업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공공부문의 인력조정은 대략 10~20%수준인데 국민들과 고통을 분담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이상은 추가해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이기형 기자】 <<'마/스/크/오/브/조/로' 24일 무/료/시/사/회 텔콤 ☎700-9001(77번코너)>>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