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소사/1월7일] 크라이슬러 구제금융

1980년 1월7일,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 카터 대통령이 의회에서 제출한 ‘크라이슬러 지급보증법’에 서명했다. 도산 위기에 처한 크라이슬러모터스에 미국 정부가 15억달러 규모의 지급보증을 선다는 내용이다. 민간의 신규 대출과 종업원 급여 삭감분을 포함해 모두 35억1,750만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은 크라이슬러는 파산을 모면했다. ‘연봉 1달러’라는 배수진을 친 아이아코카 회장의 주도로 혹독한 구조조정을 거친 크라이슬러는 1980년 17억1,000만달러 적자에서 벗어나 1982년에는 1억7,000만달러의 흑자로 돌아섰다. 대출도 7년 앞당겨 갚아버렸다. 미국인들은 환호작약했지만 정말로 크라이슬러의 재기는 성공했을까. 답은 오늘날 크라이슬러의 좌표에 있다. ‘크라이슬러’라는 이름은 홀로 존재하지 않고 ‘다임러크라이슬러’에 녹아 있을 뿐이다. 월가를 지배하는 유대 자본의 반대에도 독일 벤츠사로의 피합병(1998년)을 피할 수 없을 만큼 회사는 멍들어 있었다. 미국의 자존심이라는 GM이나 포드의 사정도 대동소이하다. 자동차 산업 등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미국은 일본을 윽박지르는(1985년 플라자 합의) 등 엔화가치를 급상승시켰지만 미국 기업들의 경쟁력은 하락 일변도다. 역사는 흐르고 또 흐른다. 26년 전 서명된 구제금융법의 이면에는 환율의 인위적 조절과 자본의 흐름, 미국 산업구조 개편이라는 파노라마가 흐르고 있다. 미국은 과연 추락하는 제조업을 포기할까. 지난해 말 파산 가능성으로 세계의 주목을 끌었던 GM은 올해 구제금융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어떤 산업군이 자동차 업종을 대신할지도 관심거리다. 정보기술(IT), 아니면 생명공학? 미국판 구제금융의 시제는 현재진행형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