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국고채 매입 확대는 '양날의 칼'

■리스크는 없나
중동계등 수요 다변화… 이자부담 감소 '긍정적'
외국인 보유비중 늘어나면 시장주도권 상실 우려도


외국인의 국고채 매수규모 확대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국고채를 많이 사 채권시장에 돈이 많이 들어오면 나랏빚의 이자부담이 줄게 된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국고채 발행을 늘린 입장에서 외국인 수요 증가는 긍정적인 요인이다. 하지만 외국인 채권 보유가 증가할수록 우리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다는 점은 위험요인이다. 이 때문에 정부도 최근 외국인의 채권 매수 움직임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당장 주식시장의 외국인 비중이 30%를 넘어 글로벌 경제상황에 따라 널뛰기하는 상태에서 채권시장마저 외국인 비중이 커지면 금융시장이 대외변수에 더욱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난 2008년 하반기에 외국인들이 돈을 빼가면서 주가는 폭락하고 채권금리와 원ㆍ달러 환율은 급등했다. 물론 최근 들어오는 채권시장의 자금 대부분이 단기자금이 아니라 장기투자 자금이라는 점에서 금융위기 이후 같은 급격한 자금유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지만 대외변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다. 기획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채권자금이 갑작스럽게 빠져나갈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규모가 큰 자금이 통제 불가능한 변수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는 자체가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이런 점에서 씨티글로벌채권지수(WGBI) 편입도 양날의 칼이다. 편입이 결정되면 10조원 규모의 외국인 자금이 채권시장에 신규 편입되며 국고채 가격은 오르고 금리는 내려가겠지만 국고채시장의 주도권이 외국인으로 옮겨간다는 점은 리스크 요인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리스크 요인이 있다고 해서 자본 유출입을 통제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자칫 자본 유출입 통제국가로 낙인 찍힐 경우 득보다는 실이 많다는 판단에서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단기간 어려움이 있더라도 자본 유출입 문제에 대해 개방과 경쟁의 원칙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정부에서는 최근 유입되는 태국ㆍ중동계 자금을 채권시장 수요 다변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미국 등 일부 국가의 자금에 쏠리는 것도 문제"라며 "장기투자 성격의 중동계 자금은 채권시장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