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25일부터 펀드 판매회사 이동제도가 시행된다. 수수료나 서비스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펀드 판매회사를 갈아탈 수 있다는 얘기다. 판매수수료가 1.5%인 A은행에서 펀드를 가입했다면 1.0%인 B증권사로 옮길 수 있다. 금융회사 입장에서는 수수료를 낮추지 않으면 고객을 빼앗길 수 있으니 긴장감을 가질 만하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큰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다. 일단 "25일부터 참여하겠다"고 손을 든 금융회사는 현재까지 10여곳뿐이다. 판매회사를 옮길 수 있는 펀드도 국내주식형 펀드로 국한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시행시점을 늦춰온 점을 감안하면 만족스러운 수준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금융업계의 대응을 보면 실망감은 더욱 커진다. 펀드를 가장 많이 파는 시중은행들의 경우 전산작업을 제외하곤 별다른 준비가 없다. 대형 증권회사들은 대부분 수수료 인하보다 펀드상품을 늘리는 데 치중한다. 사후관리 서비스를 강화한다지만 휴대폰 문자 서비스로 목표수익률 달성 여부를 알려주는 정도다. 일부 중소형 증권회사가 지난해 말부터 수수료를 깎거나 면제하는 서비스를 시작한 것에 대해서도 대형 증권사들은'찻잔 안의 태풍'으로 깎아내린다.
펀드 판매회사 이동제로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되는 자산운용 업계도 마찬가지다. 국내 한 대형 자산운용사의 사장은 "현실적 제약을 고려할 때 고객이 실질적으로 옮길 가능성은 적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오히려 불완전판매, 펀드 이동제 등의 부담으로 펀드 판매를 줄이면서 펀드산업 자체가 위축될까 걱정"이라고 밝혔다.
펀드 판매회사 이동제가 시행되기에 앞서 소수에 불과한 판매회사를 좀더 다양화하고 판매수수료 인하경쟁을 유도한다는 취지를 살릴 수 있는 보완책이 나오길 기대해본다. 증권사들이 종합자산관리계좌(CMA)가 소액지급결제 기능을 가지면 은행과 똑같아질 것으로 기대했던 것처럼 기대감만 높이고 실효성은 떨어지는 대책으로 전락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