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동북아 북극항로 허브 되려면 중국·일본 컨테이너 화물 적극 유치해야

부산상의 북극항로 개발 전략 발표
국가 차원 위원회서 정책 총괄을

부산항이 동북아 북극항로의 허브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일본의 북극항로 컨테이너 화물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부산상의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북극항로 상용화에 따른 부산의 대응전략'을 5일 발표했다.

부산상의는 부산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48%가 환적화물임을 감안할 때 중국과 일본의 북극항로 컨테이너 화물을 부산항에 적극 유치하는 게 북극항로 상용화의 경제적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최선의 전략으로 제시했다.

또한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이 부산항에서 선박급유, 선박수리, 선용품 등을 공급 받는 기항지로 부산항의 입지 확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북극항로 개발로 가장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으로는 내빙선 수요 증가에 따른 조선 및 조선기자재 산업과 북극자원 개발을 위한 해양플랜트 및 관련기자재 산업으로 내다봤다.

특히 세계 해양플랜트 생산의 70%를 차지하고도 인근 유전 및 자원개발 지역이 없어서 성장에 한계에 봉착한 동남권의 해양플랜트 기자재산업은 북극 자원개발이 활성화되면 성장에 획기적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럴 경우 동남권 전체가 고부가가치 해양플랜트 산업의 전진기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밖에 북극항로 개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북극해 정책위원회'를 설치해 북극해 관련 정책을 총괄하고 관련 사업추진을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고 부산상의는 제안했다. '해양경제특별구역' 지정으로 관련 산업의 집적화와 발전을 이끌어 낼 기반을 조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연구 용역에 참여한 류동근 한국해양대 교수는 "북극해 진출 사업은 북극해 기후변화, 북극항로의 경제성 및 안전성, 북극해 자원의 개발 수요의 불확실성, 북극해 연안 국가간 영토 갈등 등 다양한 환경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중장기적인 사업이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