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벤처산업 현재와 미래

금년들어 미국의 나스닥시장 급락으로 촉발된 코스닥시장의 지수하락은 본격적인 벤처산업의 조정으로 이어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지금 막 벤처산업 붐이 조성된 현실을 놓고 본다면 자칫 산업자체가 위축될지 모른다는 우려도 없지 않으나 우리는 차제에 이를 바람직한 벤처산업 육성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율시장의 안정, 정부·금융·기업부문의 구조조정 등을 진행시켜 왔다. 빈부격차의 확대, 실업자 양산이라는 부작용이 없지 않았지만 그래도 99년 경제성장율을 10%대까지 올렸고 실업률도 4.4%(99년11월)로 떨어뜨렸다. 외환위기국 가운데 가장 빠른 회복세를 보이는 성과를 거둔 것이다. 정부는 IMF사태를 겪으면서 한계를 드러낸 대기업중심의 성장 패러다임 전환을 시도했다. 정보·통신의 발달, 지식기반사회로의 이행, 세계화의 진행 등으로 대변되는 추세에 맞춰 유연하고 창의와 스피드를 지닌 기업을 중심에 놓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노력의 결실로 99년 12월말 현재 법으로 인증을 받은 벤처기업수가 5,000개를 넘어섰다. 벤처기업에 대한 신규투자펀드규모가 급증하는 등 벤처산업이 활성화하는 계기가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좋은면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최근에는 벤처붐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무늬만 벤처기업」인 기업들을 양산하고 있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고, 벤처산업 인프라가 미흡하다는 비판도 있다. 따라서 지금은 우리경제의 새로운 희망으로 부상한 벤처산업이 튼튼하게 뿌리내릴 수 있는 인적·물적 여건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한 때라고 볼 수 있다. 정부의 벤처산업 육성노력과 민간부문의 창의적 정신이 결합할때 이런 우리의 바램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인프라에 대한 욕구가 생겨난다. 그것은 우리 모두가 바라는 건전하고 발전성있는 벤처산업을 가꾸기 위한 필수요건이기 때문이다. 우선 창의성과 도전정신으로 무장한 수많은 벤처기업가가 나타나 소신껏 꿈을 펼칠 수 있는 사회·교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자금·인력·기술·마케팅 등이 네트워크화되어 종합지원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긴요하다. 특히 산·학·연 협력의 결정체인 창업보육센터(BI·BUSINESS INCUBATOR)를 중심으로 한 전국적 「BI 네트워크」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벤처기업의 기술 및 사업성에 대한 미래가치와 경영자의 기업가자질·경영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전문기관이 육성돼야 한다. 기존 산업의 생산성 극대화와 신산업의 육성을 위해 대기업과 벤처기업이 서로의 강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투자자금이 원활히 회수될 수 있는 증권거래소·코스닥시장 등의 건전화와 벤처기업이 자연스럽게 구조조정될 수 있는 제3시장 내지 M&A시장 등이 조성된다면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미래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다. 우리 경제가 무한경쟁의 시대, 불확실성의 시대, 광속도로 급변하는 시대를 진취적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앞서 지적한 벤처산업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해 미래에 있을 과실을 선취해야만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