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계 기업 84% "기업지배구조 자율에 맡겨야"

■ 본지 외국계기업 50곳 대상 재계 현안 설문
"재벌은 한국 특수문화" "해체돼야 한다"는 16% 그쳐
기업 때리기 관련 "지주사체제 전환등 스스로 변화를"


“재벌구조를 한국의 특수한 문화로 인정해야 합니다.” 최근 우리나라 재벌그룹 체제에 대한 찬반 여론이 뜨거운 가운데 국내의 외국계 기업 대다수가 ‘기업의 지배구조는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아 주목된다. 서울경제신문이 최근 국내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 50곳을 대상으로 삼성ㆍ두산그룹 등의 검찰 수사로 불거진 재계 현안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우리나라 재벌 소유구조에 대해 응답기업의 62.0%(31곳)가 ‘불합리하지만 한국적 특수성에 비춰 인정해줘야 한다’고 답했다. 또 22.0%(11곳)도 ‘소유구조는 기업의 고유 권한’이라고 응답해 총 84%가 재벌그룹의 지배구조 결정에 대한 자율성을 강조했다. 이번 설문에서 ‘재벌의 소유구조가 해체돼야 한다’는 응답은 16%(8곳)에 그쳤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경영권을 대물림하는 관행에 대해서도 외국 기업들의 86.0%(43곳)가 ‘문제 없다’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 외국계 대기업 대표는 “경영권 자체가 대물림된다 해도 기업만 잘 운영할 수 있다면 문제될 게 없다”며 “따라서 기업 소유구조가 옳으냐 그르냐보다 특수성을 살려 효율적인 경영을 할 수 있느냐를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외국기업 CEO들은 다만 ‘(경영권 대물림을 위해서는) 후계자의 경영능력이 검증돼야 한다’고 답해 자격조건이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반면 최근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기업 때리기’와 관련해서는 ‘기업 스스로의 능동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어서 사회적 분위기보다 기업의 변신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기업 때리기에 대해 기업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한 것인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82%(41곳)가 ‘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자발적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재벌그룹이 이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자율조치를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60%)’이라고 답했다. 한 외국계 기업 임원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재벌그룹의 오너십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기업의 효율적 경영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합리적 시스템을 찾는 것”이라며 “지주회사 체제 전환은 유력한 해법 가운데 하나”라고 분석했다. 한편 최근 삼성ㆍ두산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 등이 기업 경영에 미칠 파장에 대해서는 52%(26곳)가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거의 영향이 없다’고 답했으며 22%(11곳)는 ‘기존 경영관행 개선의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응답 기업 전체가 이번 검찰 수사 등으로 한국 기업과 외국 기업의 파트너십에 영향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70%(35곳)는 재계에 대한 검찰 수사 등으로 외국 기업들이 한국 기업에 접근할 기회를 잃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