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 '사이버전' 재점화

美, 中 6명 '산업스파이' 기소
해킹 우려 해군 서버 교체 검토
中, 美 기업 겨냥 보복 단행땐 양국 무역갈등으로 번질수도


미국 법무부가 실리콘밸리 내 자국 정보기술(IT) 기업의 첨단기밀을 훔쳐 중국 정부에 제공한 혐의를 적용해 교수 3명 등 중국인 6명을 산업 스파이로 기소했다. 또 미 해군은 중국계 회사인 레노버가 인수한 IBM 서버를 해킹 등 보안 문제를 이유로 다른 회사로 일부 교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처럼 미중 간 사이버전쟁이 또다시 달아오르면서 중국 정부가 자국에 진출한 미 기업에 보복조치를 가하는 등 지난해처럼 양국 간 무역갈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1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미 법무부가 콘퍼런스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 장하우 톈진대 교수를 지난 16일 로스앤젤레스 공항에서 긴급 체포했다고 보고했다. 산업 스파이 가담 혐의를 받는 나머지 5명은 중국에 머물고 있다. 이들 6명은 미국 기업인 아바고테크놀로지와 스카이워크스솔루션에서 박막음향공진소자(FBAR) 기술을 유출해 중국 정부에 넘겼다는 게 미 법무부의 설명이다.

FBAR는 스마트폰·태플릿·GPS 등에서 원하지 않는 주파수를 걸러주는 기술로 상업용은 물론 군사용으로도 사용된다. 아바고의 경우 이 기술 개발에 지난 20년간 5,000만달러를 투입했다. 기소된 중국인 교수들은 서던캘리포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2005년 미 기업에 취업한 뒤 기술을 빼돌렸다. 2009년에는 톈진대 교수로 자리를 옮겼고 합작회사를 설립한 뒤 기업, 중국 군과 기술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기소는 중국이 사이버공격이나 산업 스파이를 통해 미 기업들의 기밀을 빼돌리는 데 대한 중국의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안보 분야의 경우 중국 기업들의 활동도 제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날 WSJ에 따르면 미 국토안보부는 레노버가 인수한 IMB 서버 입찰을 연방정부 조달 때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록히드마틴도 자사가 공급하는 이지스 시스템에 IBM 서버를 계속 사용할지 여부를 해군과 논의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법무부의 이번 기소로 양국 간의 외교적 긴장이 촉발되면서 중국이 자국에 진출한 미 기업들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게 WSJ의 분석이다. 지난해에도 미 법무부가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장교 5명을 해킹을 통한 산업 스파이 혐의로 기소하는 등 공세를 강화하자 중국 정부 역시 전방위 보복조치를 내놓았다.

당시 중국 정부는 미 기업들을 겨냥해 ITㆍ금융ㆍ에너지 등 국가안보나 공익 관련 제품ㆍ서비스의 경우 자국 내 보안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면 중국 판매를 금지했다. 또 반독점법을 혹독하게 들이대 퀄컴·마이크로소프트(MS) 등에 재갈을 물리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아울러 해외 기업의 반도체 기술이 국가안보를 위협하고 미국의 산업 스파이 행위에 악용될 수 있다면서 국산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유콘 후앙 전 세계은행 중국 담당 이사는 "(중국 경제가 발전했지만) 정보기술 측면에서는 미국이 지속적으로 앞지르고 있다"며 "과거에는 양국 간 경제적 갈등이 환율과 무역에 집중됐지만 앞으로는 기술 문제로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