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냥꾼 칼 아이칸이 KT&G 지분을 팔아 1.500억원의 차익을 남기고 떠남에 따라 헤지펀드의 ‘먹튀’ 논쟁이 재연되고 있다.
아이칸이 국내기업을 공격해 막대한 이익을 챙긴 첫 사례는 아니지만 그 수법이 기업 사냥꾼의 전형이었던 데다 단기간에 많은 차익을 남겼다는 점이 문제다. 현재 여러 외국계 헤지펀드가 한국진출을 노리고 l있어 이 같은 일이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아이칸도 이미 한국에 진출에 많은 재미를 본 소보린 자산운용이나 론스타 처럼 주주중심 경영과 기업 투명성 제고를 무기로 장기투자를 할 것처럼 행세했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먹튀’를 하기 위한 위장 전술이었던 셈이다. 그렇다고 이들을 욕하고 비난할 수 만도 없다. 원래 헤지펀드의 속성이 이런 것을 알지 못하고 아무런 대비 없이 기업을 무방비 상태로 노출시킨 우리의 잘못이 오히려 크다고 할 수 있다.
외국 펀드의 한국기업 공격으로 주주중심의 경영과 기업의 투명성이 제고된 긍정적인 면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의 M&A 위협을 받은 기업이 경영권을 방어하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붓느라 이익창출과 기업의 미래성장잠재력 확충 노력 등이 뒷전으로 밀리는 등 폐해도 적지 않았다. 외국펀드의 긍정적인 역할은 평가해야 하겠지만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한 편법공격까지 보호할 수는 없다.
기업의 경영권 보호장치가 미흡한 상황에서 제2의 아이칸이 나타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포스코 등 공기업은 민영화 과정에서 지분이 철저히 분산돼 주인이 없다는 점에서 기업 사냥꾼들이 눈독을 들일만 하다. 이미 커크 코크리안 등 여러 외국계 투기자본이 한국진출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아이칸의 ‘먹튀’가 그렇지 않아도 심한 반외자정서를 부채질이나 하지 않을까 우려되지만 기업이 투기자본의 편법공격에 휘둘리고 이들이 단기투자로 많은 이익을 챙기고 떠나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 헤지펀드 등에 대항할 수 있는 토종펀드의 육성도 시급한 문제지만 ‘황금주’ 도입 등 경영권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 마련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