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의 불길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아지자 통신업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 사용량은 갈수록 많아지는 반면 대책은 고효율 통신장비 도입 등 원론적인 수준을 넘지 못해 애를 태우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통신업체들의 1ㆍ4분기 전기료 부담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최대 30%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SK텔레콤이 1ㆍ4분기에 수도광열비로 지출한 비용은 257억원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의 196억원보다 31%나 증가했다. 이대로 간다면 연말까지 이 부문에서만 1,000억원을 훌쩍 넘는 비용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광열비에서 전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업체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략 80%를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선통신업체인 LG파워콤 역시 전력비가 31억원에서 38억원으로 늘어나 23%의 상승폭을 보였다. 하나로텔레콤과 LG데이콤의 전기ㆍ수도광열비도 각각 17%와 11%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통신업체의 전기료 부담이 이처럼 높아진 것은 IDC 증설과 기지국 확충에 나서면서 냉방 등 장비 보호를 위한 전기 사용량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하나로텔레콤 IDC의 전기 사용량은 지난해 28% 늘어난 데 이어 올해도 1ㆍ4분기에만 전년보다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업체들은 1~2년 전부터 고효율 장비의 도입, 서버의 배치 조정, 직류 전원을 교류방식으로 전환하기 등 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만으로 전력 사용량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업체의 한 관계자는 “그 동안 통신분야가 고유가의 영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지만 이제는 여유를 부리고만 있을 때가 아닌 것 같다”며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쉽지 만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