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역세권개발 위해 '입체복합용도' 도입을

교통硏 토론회서 주장

KTX 역세권 개발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철도역사부지 및 연접부지에 ‘입체복합용도’라는 새로운 용도지역 체계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구자훈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14일 한국교통연구원 주최로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KTX 역세권 특성화 개발에 관한 정책토론회’에서 “철도부지 및 주변 지역에서 도시관리계획 변경상의 제약이 많아 역세권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구 교수는 “현행법 개정을 통해 개발계획에 따라 용도ㆍ밀도ㆍ공공기반시설을 일괄적으로 결정하는 입체복합용도지역 체계를 도입해야 한다”며 “입체복합용도지역이 도입되면 철도역사 부지와 시설 부지 및 연접 민간 부지가 단일 사업지구로 지정돼 고밀도 복합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또 오재학 교통연구원 종합물류연구본부장이 KTX 역세권 개발을 지역경제 발전의 기폭제로 삼기 위해 KTX역 인근에 교통 관련 사회간접자본(SOC)을 집중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본부장은 “KTX 역세권의 유동인구가 증가해야 주변 개발지의 사업성이 생긴다”며 “기존에 전국 곳곳에 분산돼 있던 SOC 투자를 KTX 지역의 연계교통체계를 만드는 데 집중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정책토론회에는 학계와 연구원 등 민간 전문가들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